불그스름한 꽃망울이 며칠은 더 지나야 필 것 같더니 일시에 눈부신 개화를 하였다. 보문단지는 벚꽃의 화사함으로 절정을 이루고 상춘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시가지의 벚꽃은 벌써 장렬한 낙화가 시작되어 눈꽃처럼 흩날리고 있다. 경주는 새로운 벚꽃의 도시가 되었다. 벚꽃과 더불어 많은 행사와 축제가 열리게 되어 벚꽃나무가 관광자원으로서의 한 몫을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벚꽃에 대해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벚꽃은 우리를 강점했던 일본의 국화라는 이유에서 논란이 발단된다. 그러나 벚나무에 대해서 좀더 이야기를 하면 불편했던 마음을 다소 해소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것은 일본이 자랑하는 그 꽃나무는 여러 종류의 벚나무 중에서 특히 꽃이 탐스러운‘왕벚나무’이며, 이 나무의 자생지는 일본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한라산이라는 사실이다. 분명히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이 아름다운 꽃을 자기들의 나라 꽃으로 정한 것이다. 경주지역에 많이 심겨져 있으며 흔히‘벚나무’라고 하는 것은‘왕벚나무’라고 불러야 맞는 이름이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민족의 자존심을 내세우며 벚꽃나무 식재를 절대로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물론 아픈 과거사와 우리의 자존을 잊어서는 안되겠지만, 일개의 나무로서 우리 꽃나무로 또는 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순수한 조경수로 봐 준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왕벚나무는 조경수의 조건으로서는 좋은 점수를 받는 나무이다. 조경에서는 사계절의 변화와 특색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나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사실도 그렇다. 벚나무 중에는 산 속에 자라며 꽃이 은은한 산벚나무, 붉은 꽃잎이 겹으로 뭉쳐서 피는 겹벚나무와 가지가 축축 늘어지는 수양벚나무가 있는데, 수양벚나무는 수양버들과 같이 연못 주변에 많이 심겨진다. 벚나무의 목재는 사찰에서 경판을 만드는데 사용하였으며, 껍질은 진해와 해독작용이 있어 약으로 쓰였고 열매인 버찌는 먹기도 하였다. 앞으로 경주는 보문관광단지 주변을 제외한 시가지에는 왕벚나무 식재를 지양하고 특색있는 가로경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향토수종 위주의 다양한 가로수를 식재하여야 한다. 시가지에 심겨지는 한 포기의 꽃과 나무가 관광자원임을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잘 관리 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