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토론회 방법 개선해야한다
백상승 시장 체재 출범이 후 의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열린 시정을 위한 시민대토론회`가 경주시의 현안보고에만 치중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민대토론회를 통해 경주시와 시민들이 지역의 중요한 현안을 두고 토론을 거쳐 집행부가 수렴하는 방법은 좋은 여론 수렴 창구는 될 수 있지만 지난 2번의 토론회를 보면 경주시의 나열씩 업무보고에 시민들의 의견수렴을 요구하는 것 같아 방법에 있어 앞뒤가 뒤바뀐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지난해 첫 번째 시도한 시민대토론회는 `열린 시정`이란 옷을 바로 입기 위해 마련된 것이었다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시민대토론회는 첫 단추를 끼는 것과 같아 운영의 묘를 잘 살려야 말끔한 옷차림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민대토론회의 핵심은 수요자인 시민들의 바람을 공급자인 경주시가 이해하고 이에 맞는 것을 현안을 내놓아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경주시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주민들에게 묻고 답변을 받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방법은 능동적 행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적 행정을 하는 것이다.
경주시가 필요한 여러 가지 현안을 토론회에 붙이기 보다 시민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야 하며 시민들에게 토론의 주제를 미리 알도록 해 시민들도 사전 지식을 갖고 토론회에 참석토록 해야 만이 제대로 된 토론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이나 언론, 반상회보 등을 통해 토론회에 논의 될 내용을 미리 수렴하고 알려서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토론의 장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경주시가 얽힌 실타래 같은 주요한 현안 문제를 풀어 가는데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귀기울이는 것은 지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 행정 수요자인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집중적으로 논의해 결정 구조로 이어 간다면 시민대토론회가 진정한 열린 행정의 표본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