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 생활쓰레기 소각장에 배출되는 다이옥신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전망이다.
전재희 국회의원이 지난 2001년 7월부터 지난 8월까지 환경부로부터 전국의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생활쓰레기 중형 소각장 다이옥신 측정 결과를 받아 분석한 결과 경주 지역의 경우 권고기준치인 40ng-TEQ/N㎡에 안강은 192.1, 건천은 87.1로 각각 4.8배와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에 따라 경주시는 2002년 사업비 5천만원을 들여 안강과 건천 소각장을 보수한 결과 안강의 경우 52.311ng-TEQ/N㎡, 3.041ng-TEQ/N㎡(검사 기관- 포항공과대학 환경연구원, 검사기간 2002년 9월23∼10월 31일)이 나왔다.
건천의 경우 바이옥신 배출기준치인 5ng-TEQ/N㎡보다 적은 량이 배출됐지만 안강 소각장은 52.311ng-TEQ/N㎡이 나와 다이옥신 배출 문제가 도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안강 소각장 문제에 대해 경주환경운동연합(위장 최상은, 집행위원장 김치종) 집행위원들은 지난 19일 안강소각장에서 서충조 경주시환경보호과장을 비롯한 시청 실무자들과 함께 향후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시민단체의 입장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소각장이 `폐쇄냐 보수냐 신설이냐`보다는 주기적인 다이옥신 배출 검사를 통해 결과치가 기준치에 비해 현저하게 미달되고 소각장 운영 과정에서 정상적으로만 운영만 된다면 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안강 소각장 문제는 경주시와 주민, 시민단체, 환경 전문 교수진들이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경주환경운동연합 이재근 사무국장은 "건천 소각장은 지난해 경주시가 보수한 결과 다이옥신 배출량이 기준치 미달됐지만 안강 소각장은 1차적으로 보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다이옥신 배출 기준치보다 높게 측정됐다"며 "이제는 안강 소각장 문제를 경주시만 고민 할 것이 아니라 경주시와 주민, 시민단체, 환경 전문 교수진들이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 경주시의 입장
안강소각장의 경우 다이옥신 배출량이 2005년까지 12월 31일까지 40ng-TEQ/N㎡, 2006년 1월 1일 이후부터는 10ng-TEQ/N㎡까지 기준치가 정해짐에 따라 향후 다이옥신 배출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
이에 경주시는 `안강 소각장을 폐쇄 할 것인가, 전면 보수 할 것인가`에 대해 환경부에 질의를 한 상태이다.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다소 변화는 있겠지만 경주시는 안강소각장을 보수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경주시 관계자는 "보수할 경우 2억∼3억 정도의 사업비가 들어가지만 폐쇄 할 경우 안강 지역의 쓰레기 처리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없고 만약 신규로 소각장을 건설 할 경우 최소 30억 가량의 사업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현재 경주시의 입장은 보수하는 것이 최선책 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만약 3억원의 사업비로 전면 보수 할 경우 다이옥신 배출량은 기준치에 미달된다"며 "향후 5년 이상은 별무리 없이 사용할 수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완전 보수를 주장하는 경주시는 현재 소각장 내 최적의 연소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소각온도를 850도 이상 유지하고 노내 체류시간 2초를 유지, 난류형성, 배기가스 온도 제어, 충분한 산소를 유지한다는 계획과 함께 다이옥신 제거시설(활성탄 주입)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안강 소각장의 경우 사업비 6억3천3백만원 사업비로 건설돼 지난 97년 12월부터 운영되고 있고 1일 2톤 이상, 1 시간당 650kg을 소각할 수 있으며 상연소 방식으로 소각된다.
■쓰레기 문제에 대해 장기 플랜을 세워야
이번 안강 소각장 다이옥신 배출 결과를 보듯이 앞으로 중·소형 소각장은 소각 시설의 노후화로 향후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됨과 동시에 경주시는 쓰레기 문제에 대해 장기 플랜을 시급하면서도 신중하게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쓰레기 매립에 관해서도 천군광역쓰레기 매립장 매립 기간이 2005년까지로 돼있기 때문에 앞으로 남은 2년의 시간은 그리 넉넉하지 않다는 목소리다.
만약 천군동 매립장 매립 기한이 조금 늘어난다고 가정해도 결과적으로는 경주지역에 쓰레기를 매립해야 하고 깨끗한 경주 환경을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라도 대형 소각장 설치는 불가피 한다는 목소리다.
문제는 `과연 어느 지역에 소각장을 건설 할 것인가`라는 것이다.
서라벌대학 정종현(생명보건학부) 교수는 "대형 소각장을 어느 지역에 선정해 설치 할 경우 그에 뒤따르는 많은 혜택을 주민들에게 제공돼야 한다"며 "경주시는 앞으로 지역 쓰레기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시민들과 함께 고민하고 장기 플랜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시간에 쫓겨 임시방편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후손들에게 물려 줄 환경을 생각해 신중하고 미래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결정해야 한다"며 "지금 안강 소각장을 비롯한 지역의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분리 수거를 철저히 하고 시민들 스스로가 환경 문제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