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시민궐기대회 열어 정부에 촉구
건교부 장관, 19일 경주~울산 건설 발표
시민들, 공사재개·대통령 발표 요구
경부고속철도 경주노선 사수 범 시민 궐기대회가 지난 18일 오후 2시 경주역광장에서 지역 기관·시민단체와 경주시민, 울산시의회 의원, 포항시 경제단체 등 5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지역129개 기관·시민·사회 단체로 구성된 경부고속철도 경주통과노선 사수 범시민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고속철 경주통과 노선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경주통과 노선에 대하여 논란이 거듭되어 왔음에도 1990년 이후 모든 종교계·문화계·시민단체 의견수렴과 국민적 합의에 타당성을 인정받아 개통을 눈앞에 두고있고 공사 중이다"며 "이러한 국책사업을 현 참여정부가 일부 시민단체의 반발에 밀려 엄청난 재정적 손실과 경제적 가치를 상실해 가면서 돌연 전면 중단·재검토한다는 발표는 참여정부의 지방 분권화 정책에도 정면으로 위배되는 처사로 울분과 분노를 느낀다"고 규탄했다.
또 "특정지역 일부 정치·경제·사회단체들의 막강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직적으로 고속철도의 경주통과노선 변경운동을 한다는 것은 국가의 균형적 발전을 저해하는 지역의 집단이기주의적 발상이며 수십조원의 국민 혈세를 통해 이루어지는 국책사업의 중요성을 망각하는 처사"라며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주무 부서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즉시 경주통과노선의 공사 재개를 확실히 발표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모적 낭비와 지역 간의 갈등을 종식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영석 추진위원장(경주경실련 집행위원장)은 대회사에서 "노무현 참여 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받는 일관적인 정책을 해야 한다"며 "경주통과 노선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반드시 사수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 경주시민의 다짐이며 정부가 공사중단 발표를 철회하고 경부고속철도가 경주를 통과하는 날까지 분골쇄신의 각오로 활동을 하겠다"고 말했다.
백상승 시장은 "미래 환동해권 300만 주민들의 왕성한 경제활동을 잇는 것이 고속철도 경주노선이며 이에 대한 효율성을 무시한 채 경주통과노선을 재검토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 같은 절박한 순간에 우리 경주시민이 혼연 일체가 되어 경주노선을 끝까지 사수하자"고 호소했다.
이진구 시의회 의장도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경주노선이 `된다` `안 된다`며 시민들을 실망시켜왔는데 무슨 할말이 있겠느냐"고 규탄했다.
연대사에 나선 울산광역시의회 강석구 산업분과위원장은 "울산 시민들도 경주통과 노선 사수를 위해 연대해 지킬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또 이학희 포항경제살리기 회장도 "경부고속철도의 기존 노선(경주통과노선)을 변경할 경우 최소한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며 "경주시민과 환동해권 주민들이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경주노선은 사라지는 만큼 포항과 경주 모두가 연대해 노선을 사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윤 국회의원은 "경부고속철도는 앞으로 부산에서 바다 밑으로 지하터널을 뚫어 일본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경주를 통과하면 세계 속의 경주가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경주는 완전히 됫 동네가 되고 말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궐기대회에 참가한 시민들은 경주역~팔우정로타리~노동 시청사~고속버스터미널~서천둔치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이같이 경주 시민을 비롯한 울산·포항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자 지난 19일 최종찬 건설교통부 장관은 "경주·울산 노선의 변경을 없을 것"이라는 발표를 했다.
그러나 하자 추진위 김성수 공동대표는 "공사재개 발표가 아니라 경주~울산 노선은 변경이 없다는 상투적인 발표는 믿을 수가 없다"면서 "경주노선을 지선화 하려는 의도가 아니냐"고 말했다.
또 추진위 관계자들은 "경주시민들은 건교부 장관이 발표한 경주~울산 노선의 변경은 없다는 말을 믿을 수 없으며 대통령이 경주노선을 지선이 아닌 본선으로 한다는 명확한 발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