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출토, 고대 마구류 연구 귀중한 실물자료 1973년 발굴된 경주 천마총 출토품 가운데 마구류에 쓰인 가죽띠 유물이 있음이 발굴 30년 만에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실 이은석 연구원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는 천마총 잔존유물을 확인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으며 이 연구원은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연간 학술기관지인 `문화재` 제35호에 기고한 `계(繫)에 관한 소고`라는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 발굴 당시 출토된 금관 등 수 만점의 천마총 출토품 대부분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이관된 상태지만 시료 일부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보관돼 있다. 계(繫)란 재갈, 안장 등을 말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가죽 등으로 된 끈을 통칭하는 용어로 재갈을 고정하기 위한 굴레, 가슴 쪽으로 고정한 가슴걸이(고들개), 엉덩이 쪽으로 돌린 후걸이(밀치) 등 세끈은 특히 삼계라고 한다. 이 같은 가죽띠 유물은 신라는 물론이고 고구려나 백제지역에서도 확인된 바 없어 고대 마구류 연구의 귀중한 실물자료로 평가된다. 이번에 확인된 천마총 가죽끈은 혁대 몸체에 부착하는 종 모양 드림장식물인 운주, 버클에 해당하는 교구와 일괄 출토된 점으로 보아 후걸이 부분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이 연구원은 밝혔다. 현존 가죽끈은 길이 8.4cm, 너비 2.9cm, 두께 0.25~0.5cm로 갈색이며 한쪽 끝 부분은 뒤틀려 꼬여 있고 부분적으로 견직물이 부착되어 있으며 먼저 너지 6.2cm, 두께 0.2~0.3cm가량 되는 통가죽을 길게 재단한 다음 양쪽으로 반쯤 접어 너비 약 2.5cm 안팎으로 만들었다. 그런 다음에 접혀 만난 부분을 외실을 사용해 홀치기형으로 바느질을 해서 완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존 가죽끈에는 구멍이 관찰되고 여기에 연결된 작은 가죽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운주 같은 장식물을 여기에 작은 가죽끈으로 매달았던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