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이 지역에 영화촬영 셋트장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는 시의회의 주장에 대해 난색을 표명하자 비난이 폭주하고 있다.
26일 경주시의회 의원간담회에서 경주시 관계자는 "영화촬영 세트장 유치계획을 검토했으나 서울과 거리가 멀어 간접비용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엑스트라 고용에 어려움이 많고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제약 이 많아 대규모 셋트장을 건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최근 방송관계자와 접촉해 보았지만 앞으로는 사극촬영 계획이 없었고 또 영화인들이 경주는 촬영장소로 적합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주시의 이같은 태도는 결국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경북 문경시의 경우 단체장과 시의회가 스스로 한국방송공사를 찾아 당시 20억원이 넘는 예산지원을 명분으로 드라마 촬영장 유치에 나섰던 사실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불과 2년전 서울의 영화감독 단체와 현역 방송국 PD들이 경주시를 수차례 방문, 경주엑스포 공원에서 격년으로 경주국제영화제를 개최키로 하고 행정지원을 요구했으나 시가 이를 거절했던 것과는 지나치게 대조적이다.
이진구 의원(탑정동)은 "시가 방송국 관계자를 만나 알아 보는 노력도 없이 미리 안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고 있다"면서 "문화재보호법으로 인해 세트장 건설이 어렵다는 식의 부정적인 생각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이종근 의원(내남면)도 "집행부가 일부 지역에 대한 검토만 할 것이 아니라 지역출신 방송인들이 많은데 이들과 연계해 정보를 교환하고 협조를 구하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99년 국회 임진출의원이 앞장서 추진해 온 경주국제영화제는 엑스포가 열리지 않는 해를 택해 엑스포공원내에 영화제를 개최하고 이를 발판으로 시 외곽지에 대규모 드라마 촬영 세트장을 미국 유니버셜사와 공동으로 건설키로 계획됐었다.
이시장은 당시 시 관계자를 그해 전주 국제영화제에 보내 사정을 파악한 뒤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한 후 아직까지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주국제영화제가 개최될 경우 경주엑스포와는 달리 해외의 거물급 감독에다 배우들이 대거 참여하게 돼 엄청난 관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