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 노동계는 노조관계자 8명, 사측 관계자 1명이 구속되고 29명이 불구속 입건되는 등 1년여 동안 지속되며 한때 전국적인 관심사로 부각됐던 세광공업 노사분규가 3월12일 극적으로 타결된 것을 기점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1년을 보냈다. 민주노총을 중심으로한 지역노동계는 올 하반기에는 비정규직 철폐운동을 중점 전개했다. 민주노총경주시협의회등 경주지역 5개 시민,노동단체는 9월 하순 비정규직 철폐 서명운동본부 결성을 시작으로 10월부터 정기적으로 대시민 가두서명을 비롯한 다양한 선전과 캠페인을 진행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차별철폐와 문제해결을 위한 공감대를 확산시키는데 주력했다. 이에앞서 웹투어콘도(경주시 진현동) 노조는 8월16일 직원 28명이 경주지역 최초로 비정규 직원들로 구성된 노동조합을 결성해 관심을 끌기도 했다. 2002년 한해동안 노동계를 뜨겁게 달군 것은 노동계의 정치세력화였다. 노동계는 지난 6·13지방선거에서 도의원 3선거구와 시의회 황성동 선거구에 각각 후보를 출마시켜 13.6%, 21.3%의 높은 득표능력을 보여 향후 지방의회 진출 가능성에 희망을 남겼으며,민주노동당의 정당득표율이 7.3%를 기록해 6.5%에 불과한 민주당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서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지역노동계에서 또하나의 의미있는 일로 평가 받을 수 있는 것은 노동법률 상담소가 문을 연 것. 법의 사각지대에서 최소한의 노동조건조차 보장 받지 못하고 있는 영세사업장 및 비정규직에대한 법률적인 지원활동을 목표로 10월 21일 개소한 노동법률 상담소는 문을 열자 마자 상담이 폭주했다. 경주 모회사 경비직 부당해고 논란, 지역최대 민간어린이집의 퇴지금 체불 및 근로기준법 위반 소송등이 법률상담소가 문을 연이후 쟁점화된 대표적인 사례다. 노동계의 숙원이었던 노동자복지회관 건립 가능성을 한층 높아졌다는 소식은 지역노동계로서는 더없이 반가운 소식이었다. 그러나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불거진, 일부 노동단체 간부들의 경주시 보조금을 이용한 외유 논란은 노동운동계의 도덕성과 일부 잘못된 관행을 되짚어 보게한 대표적인 불미스런 사건으로 평가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