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이 16일부터 마련한 `문자로 본 신라 특별전`이 학생들과 학자, 향토사학자등 각계의 높은 관심속에 성황리에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국립박물관을 비롯한 대학교 및 공사립 박물관에서 소장하고있는 신라시대의각종 문자유물들을 한자리에 모아 전시한 것으로 천년의 역사를 고스란이 담고 있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속유물이나 토기 등에 보이는 문자관련 유물에서부터 절터나 건물지, 산성 등지에서 출토된 비석, 토기, 칠기, 기와, 탑지 등 350여점을 시대별, 출토지, 성격별로 분류·전시해 신라에서 문자를 쓰기 시작한 초기부터 전성기, 그리고 말기의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국내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40 여점의 목간(木簡 : 나무조각에 쓴 일종의 문서)을 비롯하여 공사와 관련하여 지방민의 통치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대구무술명오작비(大邱戊戌銘塢作碑 : 보물 제516호)·慶州남산신성비(慶州南山新城碑), 일부만 일반에게 공개되었던 흥덕왕릉비편, 익산 왕궁리석탑에서 출토된 순금경판(純金經板 : 국보 제123호),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 : 국보 196호) 등이 각종 설명패널 및 탁본과 함께 전시함으로써 당당했던 신라의 문자수준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게 해 호평을 받고있다.
이번 전시는 또한 고대 신라의 문자자료를 한자리에 모아 전시함으로써 신라 특유의 절제되면서도 자유분방한 필적(筆跡)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고, 금속기·토기·기와·목칠기·비문 등 다양한 재료에 당시의 문자를 생생하게 새긴 신라의 문자생활 흔적을 살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특히 부산 아시아경기대회 일정과 맞물려 경주를 찾는 외국 관광객들에게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다음달 20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에서 계속된다.
*사진-여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