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 명 / 서 ★ 경주경찰서 규탄 1인시위 한달째를 맞으며 다시 한번 촉구한다. 경주경찰서장 사과하라!! 1. 경주경찰서의 불법적 노동자 탄압행위에 맞서 지난 3월 21일부터 시작된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의장 박철규)의 경주경찰서앞 1인시위가 벌써 한달째를 넘어서고 있다. 그동안 참여한 노조만도 20여개 노조가 넘고, 참가한 인원은 100여명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경주경찰서는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의가 요구하고 있는 △이지영 경찰서장의 사과 △소환장 발부자에 대한 무혐의 처리 △재발방지 약속 등에는 묵묵부답인채 오히려 책임자 및 관련자를 사법처리하겠다고 협박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상황이다. 2. 지난 4월 10일 우리는 경찰의 폭력만행을 똑똑히 목격했다. 사람으로써는 할 수 없는 잔인한 짓을 경찰이라는 공권력의 이름으로 자행한 것이다. 이날 경찰폭력으로 인해 85명의 노조원이 부상을 입었고 이 가운데 큰 중상을 입은 20여명은 아직도 수술을 받는 등 입원 치료중이다. 4월 10일 당일 죽지 않을만큼 팬 것은 경찰인데도 경찰은 노조원 두명을 폭력을 휘둘렀다며 구속했고, 또 다른 노조원 두명에게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가 증거 불충분으로 영장을 기각당했다. 또한 총 56명에게 소환장을 보냈고, 이 가운데 6명은 긴급체포대상자로 체포에 나섰다 한다. 이것이 경찰의 적나라한 모습니다. 경주경찰서가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에 가한 탄압은 결국 우연이 아니었다. 부평에서 경찰이 "정권은 법보다 우선한다"며 폭력을 정당화했듯이, 경주경찰서 또한 2월 24일 고속도로 통행봉쇄 버스감금, 2월 28일 집회신고된 장소 점거 등 불법을 자행하고 오히려 노조간부 32명에게 소환장을 발부하고 `사법처리` 운운하는 것은 "법보다 정권이 우선"이라는 논리 그대로이다. 공권력이라는 이름하에 부평에서 자행된 `야만적 폭력`과, 공권력이라는 이름하에 경주에서 자행된 `불법과 직권남용`은 그 형식만 다를뿐 똑같은 내용이다. 3. 부평에서 자행된 천인공로할 폭력만행의 책임을 지고 부평경찰서장과 인천경찰청장이 직위해제되었다. 그리고 대통령의 `유감` 표명도 있었다. 지휘 명령계통에 따라 움직이는 경찰에서 경찰조직의 총수인 이무영 경찰청장은 그대로 두고 일선 책임자만 조치하는 것도 그러하고, 사람을 죽도록 패놓고 `유감` 한마디로 끝내는 노벨상탄 대통령의 모습은 "시간이 가면 잊혀지겠지" 하는 얄팍한 수에서 나온 급한 불끄기에 불과함을 모르는 국민은 없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고 했던가? 위에서 보이는 모습이 이 지경이니, 경주경찰서의 모습이 변할리 있겠는가?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는 그동안 자행된 경주경찰서의 불법행위 및 노조탄압행위를 묵과할 수 없음을 다시한번 천명한다. 그리고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경주경찰서앞 1인시위는 계속될 것이며, 경주지역의 2001년 임단협투쟁과 연계해 지속적인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임을 1인시위 돌입 한달째를 맞으며 밝히는 바이다.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는 다시한번 경주경찰서에 촉구한다. ▶ 이지영 경주경철서장은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에 대한 탄압에 대해 사과하라! ▶ 집회장소를 불법으로 점거한 경찰이 오히려 민주노총 경주시협의회 간부 32명에 대해 집시법으로 소환장을 발부한데 대해 즉각 무혐의 처리하라! ▶ 이후 경주경찰서는 이러한 사태가 다시 재발되지 않도록 약속하라! 2001년 4월 26일 민주노총 경북지역본부 경주시협의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