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연구소 신창수 실장 `경주사학` 논문서 주장 법흥왕 15년(528) 불교 공인 이후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지(사적 15호)의 사찰이 초대형 사찰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신창수 유적조사실장은 동국대 경주사학회 기관지 `경주사학` 21집에 기고한 `흥륜사의 발굴성과 검토`라는 글에서 흥륜사가 회랑 내곽만 넓이가 4천여평에 달하는 거찰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흥륜사지는 흥륜사가 있던 곳으로 알려졌으나 영묘사(令妙寺 혹은 靈妙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출토됨으로써 또 다른 신라 사찰인 영묘사 터라는 견해 제시되는 등 이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되속되어 왔다. 흥륜사 절터의 규모에 대해 학계에서는 처음 언급한 신 실장은 이 논문에서 현재의 흥륜사 사적지가 흥륜사인지 영묘사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 대신 1972년 경부고속도로 진입로 개설공사 때 절터 서북쪽 서측 회랑지로 추정되는 건물터를 확인한 것을 시작으로 1981년까지 이 일대에 산발적으로 서너 차례 진행됐던 발굴성과를 토대로 절터의 구조와 축조시기 및 규모 확인에 주력했다. 그 결과 이곳에 자리했던 사찰은 중앙의 탑을 중심으로 금당과 강당, 중문(中門)을 남북 일직선으로 배치한 소위 일탑식(一塔式) 가람으로 추정했다. 신 실?은 이 사찰의 출토유물을 볼 때 신라가 백제, 고구려와 맞서던 산국시대에 처음 축조했으며 그 이후 신라 통일기에 대대적인 증축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근거로 지하 아래층 유적과 위층 유적사이에 두께 1m 가량되는 두터운 토사층이 확인되고 있음을 들었다. 절터 규모에 대해서는 사찰 전체 구역중에서도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회랑 내곽, 즉 중문·탑·금당·강당을 합친 구역이 96×132m로 3천7백여평에 이르며 전체 사찰면적은 이보다 훨씬 넓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심 실장은 `이러한 회랑 내곽 규모는 이 사찰의 초창기인 삼국시대나 이후 대대적인 중창이 있는 통일신라시기나 변함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