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철과 각종 태풍을 대비해 현재 생육 중인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 안전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주지역의 경우 대부분의 농사가 벼농사 중심이고 매년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형산강 범랑과 논두렁 유실로 인해 농민들이 큰 자연재해를 입었다.
이에 따라 경북도 농업기술원은 4일 농작물 관리 요령을 발표하고,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 벼 농 사
집중호수로 무너질 우려가 있는 제방과 논두렁은 긴급히 보수토록 한다.
산간지의 계단식 논에는 물꼬를 넓게 여러 곳에 만들어 주어 큰비가 오더라도 물이 잘 빠지도록 해준다.
수로에 나 있는 풀은 모두 베어서 집중호우가 내리더라도 물이 잘 흘려 내리도록 해준다.
▲ 밭 작 물
고추·무·배추·수박·참깨·콩 등 밭작물은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다시 한번 정비하도록 한다.
고추는 지주를 보강하여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수박, 참외 등 현재 수확기에 있는 과채류는 태풍이 오기 전에 수확하여 출하하도록 한다.
시설하우스 주변의 배수구를 정비하여 빗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강한 바람으로 골재가 파손 될 우려가 있을 때는 비닐을 찢어서 골재를 보호하도록 한다.
▲ 과 수
복숭아, 자두 등 수확기 과실은 가능한 한 미리 수확하여 출하한다.
과실의 무게로 나무가 쓰러지기 쉬우므로 받침대로 줄기나 주지를 받쳐주어 쓰러짐을 방지하고 특히 뿌리가 약한 어린나무는 받침대를 튼튼히 세우고 끈으로 묶어준다.
과실이 열린 가지는 받침대를 받치거나 끈으로 묶어서 피해를 방지하고 포도·배 등의 덕과 포도 비가림 시설을 단단히 손질하도록 한다.
과수원의 도로난 경사지의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비닐 부직포 등을 덮어 주고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하고 저지대 등 침수 우려지역은 제방 등을 점검토록 한다.
▲ 축 산
축사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빗물이 축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하고, 땅바닥에 보관중인 사료는 높은 곳으로 옮겨서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낮은 지대의 축사가 물에 잠길 우려가 있을 때에는 가축을 높은 지대로 옮기고 임시 관리를 하도록 한다. 가축 분뇨 저장시설과 퇴구비장의 배수구를 점검하여 빗물이 들어가거나 오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사료작물 포장은 배수구를 정비하여 물에 잠기는 일이 없도록 하고 풋베기 사료는 수일간 급여할 수 있는 양을 미리 베어서 확보하도록 한다.
▲ 농업 시설물 등
시설하우스 과수시설등 각종 농업시설물은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하여 피해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야외에 보관 중인 농기계는 비를 맞지 않도록 비닐을 덮어 주도록하고 물에 잠길 우려가 있는 저지대의 농기계와 농자재는 비교적 안전한 높은 지대로 옮겨서 보관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