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영향으로 최근 수명연장 절차를 밟고 있는 월성원자력 1호기에 대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수명연장 반대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지역내 원전 관련 사업에 암초로 작용할 전망이다.
월성원측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국내에 가동중인 원전과 후쿠시마 원전은 설계 개념부터 다르기 때문에 일본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양남면 주민들로 구성된 ‘월성 1호기 수명연장 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16일 월성원자력본부를 찾아 1호기의 계속운전에 대한 반대 입장을 전하고 이달 말까지 계속운전 여부에 대한 원전 측의 답변을 요청했다.
추진위는 양남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월성 1호기 수명연장 반대 서명을 받고 있으며 조만간 청와대와 교육과학기술부에 이같은 주민들의 뜻을 전달할 계획이다.
또 이달 말까지 원전 측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을 경우 집회를 개최하는 등 수명연장 반대운동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추진위 측은 “인접 국가인 일본의 노후한 원전에서 사고가 커지면서 월성 1호기 수명연장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여론도 높아지고 있다”며 “월성 1호기가 설계수명 30년도 채우지 못하고 압력관 교체작업을 하고 있는데 안전하다고 어떻게 장담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추진위 측은 또 “우리나라에 일본과 같은 강진이 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며 “주민들이 보상으로 돈 몇 푼 더 받기 위해 반대 입장을 취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월성 1호기 수명연장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도 지난 14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는 당초 올해 2월에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10년 간 수명연장이 허가됐고 결국 큰 사고로 이어졌다”며 “교과부가 올해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인데 월성 1호기는 조기에 폐쇄돼야 한다”고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이어 경주지역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경주핵안전연대도 지난 17일 오전 11시 경주시청 본관 앞에서 노후한 월성 1호기 영구 폐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등 일본 원전 폭발사고 여파로 월성원전 1호기의 계속운전 계획이 암초에 부딪치고 있다.
이에 대해 월성원전 측은 “1호기 계속운전을 위해 교과부에 신청을 해 둔 상태로 안전성 평가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으며 그 결과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월성원전은 설계수명이 30년으로 내년에 수명을 다하는 월성 1호기의 10년 운전 연장을 위해 안전성평가보고서를 2009년 12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으며 계속운전 여부는 올해 하반기에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