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1월 31일자) 단독 보도 ‘경북도 경북관광개발공사 인수 통큰거래 구상’과 관련해 지난달 28일 경북도와 한국관광개발공사가 경북관광개발공사 지방공기업 전환을 위해 MOU(우선협상 양해각서)를 체결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 기관의 협약 사항은 개발공사의 매각은 관광진흥법, 국유재산법 등 관계법령의 테두리 내에서 진행하며 계약 대상은 한국관광공사의 출자지분(100%)에 대한 권리 등 일체로 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관심인 인수인계 계약금액은 양 기관이 각각 추천하는 전문기관의 평가 금액을 기준으로 하되, 평가에 대한 세부사항은 별도 협의에 의해 정하기로 했다.
또 협약기간을 오는 8월까지 정하고, 단 계약대상 물건에 대한 평가, 현장실사 등을 실시해 협상이 상당히 진행됐다고 인정될 시 양측이 협의하여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등 인수 인계 기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는데도 합의했다.
양측은 체결한 협약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조만간 공동 추진팀 T/F를 구성할 방침이다.
특히 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의 의미는 도가 개발공사 인수를 위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보면 된다”면서 “개발공사측이 실시한 자산가치는 탐방로, 편의시설 등 제외가 불가피한 것들도 포함한 평가이기에 양측 논의를 통해 재감정을 하면 자산가치도 떨어져 인수가 한결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공기업선진화(민영화) 대상에 포함된 개발공사는 지난 2009년 10월부터 매각 절차를 밟았으나 지난해 11월까지 두 차례 걸친 매각에서 응찰자가 없자 경북도가 우선협상대상자로 나섰고, 이후 개발공사와 한국관광공사, 문광부 등 관련기관이 협의를 해 왔다.
개발공사를 인수, 지방공사화 해 경북지역의 관광인프라 확충에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경북도는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의 대구 방문시 김관용 지사가 나서 개발공사 인수 필요성을 건의하며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경북관광개발공사 직원들도 고용승계가 불확실시되는 국내 민간기업으로의 인수보다는 경북도를 선호하고 있어 양측이 전문기관의 감정을 거쳐 인수인계 금액만 어느 정도 논의되면 이번 인수인계는 빠른 속도로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지난해 한국관광공사는 경북관광개발공사에 대한 민영화를 위한 공개입찰을 강행했지만 응찰자(인수자)가 없어 계속 유찰됐었다.
유찰의 가장 큰 원인은 공적자산 가치(4800억)에 대한 투자대비 생산성(수익성)이 턱없이 낮다는게 걸림돌로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