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울진에서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졌다. 울진군 이장협의회 등 10개 민간단체들이 원자력발전소 부지 신청 및 원전관련 시설 유치 건의서를 울진군과 군의회에 전달하였고, 신규 원전 건설부지 유치신청 찬반 여론조사에서 93%에 달하는 찬성의견을 얻었으며 곧 의회 동의를 거쳐 유치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로써 울진군은 원자력발전소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가세할 예정이다. 원전유치를 원하는 기초단체장이 2월 28일까지 지방의회의 동의서류를 첨부한 ‘유치신청서’를 제출하면 신규 원전부지 후보지역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11월 한수원은 신규원전 입지 확보를 위한 정책수립 용역을 시행한 결과, 원전입지 가능지역 중에서 신규원전 유치에 참여가능성이 있는 4개 지역인 강원 삼척시, 전남 고흥군·해남군, 경북 영덕군에 유치신청을 요청했었다. 울진은 이들 4개 지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북면 등에 이미 6개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으며 직산리는 최초 원전 후보지에 오른 적이 있는 지역이지만 신울진 1∼4호기 건설을 확정하면서 추가 원전건설은 없는 것으로 정부와 합의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울진군민 스스로 합의를 깨고 원전유치를 희망함으로서 원자력에 대한 주민들의 안목이 크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에너지 부족시대에 직면한 오늘날 원전의 필요성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최근 UAE 원전수출이 한국형 원전의 높은 안전성에서 기인했다는 사실을 인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원전을 유치함으로써 건설경기 호황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원전지역 지원사업추진 등 유치지역에 주어지는 부가적인 이득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과거 님비 시설 중 하나였던 원전으로서 대단한 영광이 아닐 수 없다. 오늘날 높아진 위상에 이르기까지 원전관계자 및 정부는 부단한 노력을 해왔으며 그들의 노고를 치하하지 않을 수 없다. 앞으로 정부와 한수원은 이 분위기를 살려 더욱 안전한 원전, 더욱 향상된 원전을 건설·운영하는 것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