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경주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2011년 경주W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가 터무니없는 예산과 인원 부족 등으로 동네 도장별 대회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2년마다 열리는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192개 회원국 중 150여 개국에서 선수와 임원 1만여 명의 방문이 예상되는 태권도 단일 국제대회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 경주시는 2009년 11월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 이어 2번째로 이 대회를 유치했다. 하지만 9일간 열리는 이 대회의 전체예산은 국비 지방비 등을 합쳐 47억1500만원이 고작이다. 그나마 현재 40억원만 예산을 확보했을 뿐 나머지 7억여원은 베너 광고와 스폰서 등을 통해 충당한다는 조건이어서 예산을 제때 받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 게다가 이 가운데 15억원은 경기장 리모델링에 필요한 시설비이기 때문에 대회 홍보와 각종 대회 관련 추가시설은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경주시가 당초 이 대회를 유치할 때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를 통해 경주관광의 부흥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표를 세웠지만 예산 부족과 관심 부족 등으로 태권도 발상지에서 태권도가 천대받는 꼴이 됐다. 또 뒤늦은 대회조직위원회 구성과 인원 배치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경주시가 이 대회를 유치한 것은 2009년 11월이지만 조직위는 1년이 지난 2010년 10월에 3명의 직원들로 구성됐다. 그나마 올해 1월 정기인사 때 6명이 추가돼 9명이 전부다. 조직위 관계자는 “직제상으로만 계산을 해도 최소한 26명이 필요한데 인원이 턱없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오는 8월 27일부터 9일간 대구에서 열리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총예산 2875억원과는 비교도 안되는 차이다. 이로 인해 대회는 불과 80여 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국적인 홍보는 물론 경주시민들조차 대회 개최를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보문단지의 한 특급 호텔 관계자는 “이 같은 큰 규모의 국제대회 개최에 가장 민감한게 호텔업계인데 이번 행사가 열린다는 이야기는 처음”이라며 “정말 경주에서 국제대회가 열리느냐”고 오히려 반문했다. 시민 황모씨(50)는 “경주가 태권도 발상지라고 들었는데, 국제 태권도대회를 이같이 졸속으로 추진하려거든 아예 타 도시에 반납을 하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예산과 인원은 부족하지만 경주시는 그동안 많은 국제행사를 무리 없이 추진해 왔기 때문에 무리 없는 대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