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인사 시스템이 또 다시 질타의 도마에 올랐다. 지난 7일 단행된 5급 수평이동 및 6급 전보인사를 두고 또 다시 윤리적 문제와 공정성 문제에 휩싸였다. 문제의 핵심은 기술직 5급 수평이동과 징계처분 대상자들의 사업소와 일선 면 등의 발령이다. 특히 시는 민원의 최일선 행정기관의 대시민 서비스와 직원들의 능력 향상을 강조하면서도 그동안 징계대상자 및 기타 문제를 일삼은 전보 대상 직원들에 대한 자리 이동을 일선 읍면동이나 사업소 발령을 관례화 해왔다. 이로 인해 사업소 및 일선 행정기관에서 묵묵히 소임을 다하는 모범 공무원들에 까지 상당한 편견의 시선과 업무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5급 수평이동의 경우는 공원녹지과장으로 발령난 녹지 5급이 일주일만에 다시 일선 면장으로 자리를 옮겨 경주시 인사 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다. 시민 H씨는 “일주일만에 다시 발령날 만큼 큰 잘못이 있었다면 차라리 대기 발령시키는 것이 당연하지 않았냐”고 시의 인사 검증 시스템에 일침을 가했다. 시 인사 관계자는 “이번 인사의 경우는 전보 제한기간(1년)이 지나기 전에 전보를 위해 미리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고 해명 했지만 이번 5급 전문직들에 대한 인사에 대해서는 적절치 못했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이 관계자는 또 “일선 행정기관장의 경우는 주민들의 민원과 기관장의 부적격성이 도출될 경우 인사위원회에서 자리를 옮긴다”는 해명에 대해서도 일부 공직자들은 “주민들의 민원으로 쉽게 자리가 움직인다면 누가 일선 기관장을 희망하겠느냐”며 이는 열린 행정의 역행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이같은 민원에 의한 인사는 땜질처방식 인사로 직원들간의 위화감 조장의 빌미가 될 뿐이라고 비난했다. 시가 지난해 8월 국장급 보직인사에서도 적절치 못한 인사라고 비난을 받은 것도 퇴임을 불과 5개월여 앞둔 국장 승진자를 시의 가장 중요한 현안을 맡고 있는 국책사업단장에 배치한 것을 비롯해 핵심부서 직원에 대한 보복성 파격 인사가 한 예가 되고 있다. 지역 일선 행정기관의 공무원 A씨는 “그동안 징계 등 문책성 인사가 있을 때마다 일선 읍면동과 사업소로 발령내는 경우가 보통인데 이같은 문책성 발령으로 기존 공무원들의 사기는 물론 업무 능력의 저하 요인으로 업무에 상당한 부담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고위 인사 관계자는 “이번 5급 수평이동에 대해 징계처분에 대한 수위에 대해서는 밝힐수 없지만 어쩔수 없는 사정이 있었던 만큼 정상적인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친 인사인 만큼 부당성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