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북주민들의 ‘마이웨이’는 계속되는가?.”
시가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 예정지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최근 도심권 이전을 위한 특별대책추진단을 구성하자 지난 6일 양북면 이장단협의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반대대책위를 구성하고 이를 반발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양북면 이장단협의회 대표 및 주민 등 100여명은 이날 오후2시 양북면복지관에서 한수원 본사 예정지는 당초 계획대로 추진할 것을 전재로 “한수원 본사는 방폐장 지역인 양북면 후손들의 생명과 권익을 담보로 하는 수단인 만큼 결코 양보할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한수원 본사는 당초대로 양북면에 와야되고 한수원을 도심으로 이전하려면 방폐장도 함께 가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한수원 확정 이후 각종 선거 때마다 본사를 주민들이 도심권으로 옮겨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시장이 바뀌니 또 그 이야기가 나온다며 한수원 도심권 이전은 절대 불가하다”고 강경하게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 연말 최 시장이 양북면민들에게 발송한 서한문에 대해서도 한수원 본사 도심이전을 주장하는 논리가 ‘조삼모사’격으로 가당치도 않는 협작술이라고 주장하며 서한문에서 밝힌 양북면민들에 대한 인센티브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며 거부의사를 확실하게 밝혔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조속한 시일내에 면민들의 뜻을 모아 한수원을 도심권으로 옮기려는 시를 규탄하는 집회도 계획하고 있고 그래도 관철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역의 현안인 방폐장 건설과 방폐물 반입, 월성원전 1호기 수명 연장에 대해서도 면민들과 의견을 수렴해 대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같은 경고는 설계수명이 30년을 2010년에 수명이 다하는 월성원전 1호기의 10년 연장 신청에 상당한 아킬레스로 작용될 전망이다.
한편 시는 연초 한수원 도심권 이전을 위해 최근 부시장을 단장으로 기획, 상황관리, 현장활동, 산업단지조성 등 5개팀 70여명으로 특별대책추진단을 구성하고 매주 3차례 회의를 열고 도심권 이전에 탄력을 붙일 방침이었다.
▶양북면이장단협의회 최 시장 서한문 어떻게 반박했나
-한수원 본사 직원들이 양북으로 오지 않으려한다 이윤극대화 보다 공익성이 우선하는 공기업인 한수원이 본사 노조의 요구는 회사의 내부문제인 특별신분관계 차원에서 공기업 정책에 다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한수원 본사 직원 사택 부지는 도심권으로 양보한다고 했다.
-장항리 부지는 한수원이 입지하기 협소하다 현재 장항리 부지는 국토해양부 공공기관 지방이전획 수립지침에 의해 정해진 최대한의 부지 규모다.
-울산 경제권으로 흡수되어 효과 반감은 한수원 사옥만 장항리에 위치 할 뿐 주 경제적인 효과를 담당하는 사택은 도심권으로 위치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말이다. 장항리는 울산보다 경주가 훨씬 가깝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오히려 한수원이 원하는 지역은 KTX역사와 가까워 직원들과 가족들이 대도시로 빠져나가기 더욱 용이할 뿐이다.
-에너지 박물관 대신 사업비 2000억원으로 100만평 규모의 원자력에너지 단지 조성에 투입하여 원금과 수익을 회수하여 골프장 운영으로 100여명의 고용과 농산물 납품으로 지역경제를 돕는다 에너지박물관은 이미 2009년 8월31일 정수성 국회의원과 시장, 한수원사장이 양북에 건립키로 이미 결정됐고 산업단지도 양북에 20만평, 양남에 60만평을 조성키로 합의된 사항으로 한수원 본사와는 하등의 관련이 없는 부분이다. 특히 골프장은 수질오염으로 어떤 지역도 기피하는 사업이다.
-산업단지 배후에 1000세대 주거단지, 편의시설 교육시설을 조성하여 양북면 일대 인구 1만명이상의 대읍으로 성장한다 이는 2008년 3월 연구용역(동국대, 경주대, 포항1대학 등)으로 작성한 자료다.
-방폐장 특별지원금 1500억원을 동경주에 쓰도록 하겠다는 시장의 설명에 대해 특별지원금은 시의회를 통과해야 하므로 시장 마음대로 쓸수 없는 사안으로 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