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경주 방폐장 임시저장시설에 울진원전의 방폐물을 반입하려하자 경주시의회가 돌연 반대하고 나서 난항이 예상된다.
이에 앞서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로 구성된 경주핵안전연대도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한 방폐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방폐물의 운송 및 임시저장은 결사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하지만 공단 측은 지난 23일 방폐장 운반 전용선박인 ‘한진 청정누리호’에 울진원전에서 방폐물을 선적해 지난24일 오전9시 경주 방폐장 물양장에 도착했다.
이 선박은 1000드럼의 방폐물을 싣고 경주 월성원전 물양장에 24일 입항해 방폐물을 하역, 전용트럭에 옮겨싣고 방폐장내 지상시설인 인수저장건물까지 운반됐다.
경주핵안전연대와 양북면 일부주민들의 반발은 이미 예상됐지만 경주시의회가 지난23일 제163회 경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성명서를 채택해 반발한 것은 갑작스런 행동이었다.
시의회는 “정부는 방폐장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폐물 반입을 해서는 안 되며 방폐물 반입 전에 정부지원약속을 즉각 이행해야 한다”며 “최 시장과 집행부는 시민을 무시하는 공단의 들러리를 서서는 안 된다”고 성토했다.
시의회가 최 시장을 압박한 것은 지난 16일 인수저장시설 최종사용승인과 관련해 전체의원간담회에서 서로 논의됐으나 이후 시가 시의회에 제때에 설명을 않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당시 최 시장은 건축법상 법적요건 구비를 이유로 사용승인을 해 주어야 할 불가피성을 언급하면서 방폐물 반입시 시는 행정지도 및 시민과 충분한 합의를 한다고 해놓고 지난 20일 인수저장시설의 최종 사용승인을 해주면서 시의회에 그 사실을 통보하지 않았다는 것이 시의회의 주장이다.
그리고 시의회는 지난 21일부터 26일까지 울진으로부터 방폐물을 반입하겠다는 공단의 계획을 통보받고도 그 사실을 시의회에 통보하지 않고 같이 대책을 논의하지 않은 것을 두고 시장이 언행일치를 하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시의회의 이 같은 대응은 그동안 중요사안에 대해 종종 일어났던 집행부의 늑장 보고와 대응에 대한 추궁을 통해 최 시장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보여 진다.
경주핵안전연대는 22일 오전 10시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한 방폐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방폐물의 운송 및 임시저장을 결사반대한다”고 밝혔다.
경주핵안전연대 또 24일 오전 10시30분 월성원전 정문 앞에서 방폐물반입 기자회견을 열고 “수송선이 입항 할 물량장은 월성원전 부지 내에 있고 수송선의 흘수(배가 잠기는 깊이)가 4미터로 측정되었으나 물량장의 깊이가 5미터가 되지 않아 보수공사를 진행했다”며 “이 보수공사 이후에도 흘수가 4.7미터 밖에 되지 않아 아직도 물량장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라고 주장했다.
한편 공단은 건설 중인 방폐장의 준공이 늦어짐에 따라 울진원전의 포화 방폐물을 방폐장 내에 먼저 준공된 인수저장건물에 우선 반입키로 했으며 그동안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어민들과 협의를 벌여 선박운항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앞서 지난달 16∼17일 모의 전용운반용기를 방폐물 운반선에 싣고 시범운항을 실시해 방폐물 반입과정을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