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고도보존계획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위해 지난 16일 오후2시 청소년수련관에서 개최된 시민공청회가 도심권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 위기까지 내몰리다 일부 도심권 주민들의 설득으로 참석자 절반 이상이 퇴장한 가운데 순탄치 못한 ‘반쪽’ 공청회로 진행됐다.
경주시가 주최하고 국토연구원 주관으로 개최된 이날 공청회는 행사 시작 부터 도심권주민들의 행사장내 현수막 게첨 등으로 시 관계자와 몸싸움을 벌였고 의견 주장 등으로 한때 행사가 중단됐다가 일부 주민들의 설득으로 가까스로 다시 진행됐다.
도심권주민들은 이날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정부와 시가 시행하려는 경주고도보존계획은 시민들의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며 원천 무효를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시가 시민들의 생사가 달린 중요한 공청회를 주최하면서 시민들과 충분한 교감을 갖지 않고 있다는 점과 공청회에 도심권주민들을 일방적으로 패널을 정하고도 공청회 하루 전까지도 연락이 없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날 공청회에 참가한 도심권측 한 대표는 “시가 민감한 내용을 너무 쉽게 접근한것 같다”며 경주의 미래가 달린 문제를 갖고 공청회를 개최하면서 시가지에 현수막하나 걸지 않고 슬그머니 행사를 강행하는 이유에 대해 따졌다.
또 다른 도심권 주민은 “시가 당초 5억원의 용역에 대한 배경을 분명히 하지 않은 부분 부터가 미심적다”며 “처음에는 문화재청이 국토연구원에 용역을 맡겼다고 했다가 끝내 시에서 용역을 맡긴 것으로 확인 됐다”고 시의 ‘치고 빠지기식’ 행태를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