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의 근무여건 개선과 민원인들의 편의증진도 좋지만 길어야 4년 남짓한 기간동안 활용할 건물을 신축하는데 200억 이상의 혈세가 새나가는데는 절대 반대 합니다.”
“최양식 시장이 선거 공약으로 2014년 동해남부선 철도를 이설하고 경주역사를 신경주역사로 통합한 뒤 그 자리에 행정타운을 건설하겠다고 약속까지 했는데….”(최병찬 성동 개발자문위원장)
시 청사 내 과거 보건소와 현재 시 금고 등이 자리한 별관 동(현재 해양수산과, 시 금고, 창고 등) 의 건물을 뜯고 지상5층 규모의 건물을 신축하는 계획안이 지난 3일 시의회에서 증축안을 골자로 하는 2010 경주시공유재산관리계획변경안 표결 끝에 가결되어 이달내에 본회의에서 사실상 통과쪽으로 가닥을 잡자 시민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특히 시민들은 시 청사 증축을 놓고 집행부와 의회가 2차례나 부결된 사안이 이번 해당 위원회 표결에서 10명의 위원 가운데 6대4로 증축쪽으로 힘을 실어주자 시의회에 대한 섭섭함 까지 표출하며 서명 등을 통한 대 시민 반대 운동을 전개할 태세다.
당초 시의 별관 동 증축계획은 기존 건물동을 헐고 신축하는데 119억28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중에 교통영향평가, 별관 동 철거, 문화재 시굴조사 등을 거쳐 2012년 12월까지 공사를 완료하기로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이 예산은 순수하게 건물을 짓는데 따르는 예산으로 임시 사무실(옛 경주여중)내부 인테리어 및 통신시설까지 포함하면 200억원이 훨씬 넘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번 증축안을 반대한 이종근의원(성건, 중부)은 “2014년 동해남부선 철도 이설 후 경주역사 자리에 행정타운(시청) 신축계획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예산절감 등을 이유로 반대했다.
이 의원은 “집행부의 불편을 고려한다면 시의회 3층에 2층으로 증축하고 경주역 이전이 KTX포항 연결구간 공사 때문에 2014년으로 늦어진 만큼 집행부의 노력으로 당초 2012년으로 앞당길수도 있다”는 탄력성 있는 논리를 제기했다.
이경동의원(용강, 황성)도 “시청 본관 뒤편 문서고 등으로 사용되는 창고 일부를 리모델링으로 불편을 감수할수있다”며 반대를 고수했었다.
이에대해 한 시민단체 공동대표는 “시 청사 증축안을 두고 “해당 상임위가 예산 낭비 등을 이유로 2번이나 부결된 사안이 이번에 다수의원들의 찬성은 집행부의 상당한 로비 또는 힘의 논리가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시 청사 증축안은 이번 회기 동안 본회의 의결을 마무리 짓는데로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신축 절차를 진행할 것이고 해당 부서와 일부 부서가 증축공사가 완료되는 2012년 말까지 현재 비워둔 경주여중을 리모델링해 임시사무실로 사용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