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퀴 시의원’이란 닉네임의 경주시의회 윤병길 의원(사진·용강, 황성)이 넓은 안목과 올바른 의정학습의 자세로 의정 활동에 임하며 민의의 대변인 역할을 손색없이 해내 모범 의원상의 표본이 되고 있다. 초선의원인 윤 의원은 초선의원 답지않게 예리한 지적과 함께 대안까지 뒷받침하는 ‘엘리트 행보’로 최근 지역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굵직한 민원을 해결하는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윤 의원은 다수의 크고 작은 사고와 심지어 사망사고로 까지 이어지면서도 관련 법규에 해당사항이 없다는 이유로 ‘유야무야’ 되어온 보문단지내 사륜오토바이(ATV) 상업운행에 대해 이번에 ‘대못’을 박았다. 그동안 많은 사고가 발생했지만 시와 해당 기관에서는 사륜오토바이 운행에 대해 무등록, 무면허 등 관련 법규를 어길시에만 도로교통법에 따라 단속할 수 있다는 법규를 뒤집고 아예 하천을 봉쇄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윤 의원은 관련 법규에서 한발짝 물러나 시에서 하천을 오염시키거나 공공시설을 파손할 경우, 과태료 처분 등의 단속이 가능점과 보문단지내 사륜오토바이가 주로 단지내 하천을 기점으로 출발하거나 하천내 운행이 많다는 점 등을 들어 시 예산을 반영해 하천 진·출입통제 구조물 설치를 제안했다. 윤 의원의 이같은 대안은 실제로 하천내 진출입이 불가능하면 사륜오토바이들의 운행은 도로로 나올 수 밖에 없어 단속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앞서 지난 10월 경주지역 버스 중단 사태 때도 윤 의원은 시내버스 손실보전금 계산을 위해 수천만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는 용역보다 시내버스에 이미 장착된 CCTV를 활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해 자칫 누수될 뻔한 혈세를 막는데 일조하기도 했다. 당시 윤 의원은 지역 시내버스 손실보전금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지만 버스 수입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부재로 기존에 설치된 CCTV를이용해 녹화된 기록을 분석하면 정확한 수입을 집계할 수 있다고 제안했었다. 이밖에 윤 의원은 황성동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갓뒤 공동묘지 이전문제 등 각종 지역구 민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등 지역 발전을 위해 발품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역의 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이같이 의정 활동에 열의를 보이고 있는 윤 의원을 그의 교통수단인 자전거와 접목해 ‘두바퀴 시의원’이란 별명을 붙였다고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