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6일 완료 목표로 추진 중인 고도보존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하루 앞두고 지난 18일 도심권 시민사회단체 대표들과 계획수립을 주도한 채미옥 박사 등 관계자들이 의견조율을 위해 함께 자리를 한 것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 진다.
지난달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던 설명회가 무산된 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던 상황에서 대화의 물꼬를 튼 것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채 박사는 이날 경주읍성 부지에 대한 축소 및 아파트 고도제한, 한옥개량에 대한 예산지원 확대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용역을 받은 어느 고도와는 다르게 경주를 많이 방문했고 현장은 물론 다양한 분야전문가들의 의견으로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채 박사는 또 “보고서를 만들면서 시민들의 삶을 피폐하게 하거나 불편을 줄 수 있는 요인은 가급적 제외했고 오히려 시민들 입장에 서서 문화재보호법에 저촉될 사항까지 포함하면서 모두가 잘 살아가야 한다는 고민을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조관제 경주고도보존특별법개정범시민연합 대표는 “국토연구원의 계획서대로 실천만 된다면 경주는 유토피아가 될 수 있지만 시민들은 경제적인 어려움과 생활의 불편 등 현실적인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며 “이처럼 이론과 현실이 대립된 데에는 시민들과의 소통보다는 이상론자들과의 대화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전면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양측 모두 고도 경주를 가장 경주답게, 시민이 풍요롭고 행복하게 잘사는 경주를 만들자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고 사료된다.
지금까지 경주사회는 현안만 생기면 공론화된 토론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기보다는 일방적인 주장으로 갈등의 골만 깊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민심을 과도하게 의식해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한 행정의 역할 부재와 일부 정치인들의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주장을 충분한 토론과정을 거쳐 합의점을 찾아내는 것은 일등 시민이 갖춰야할 자세라고 본다. 이번에는 함께 충분한 토론을 통해 가장 바람직한 고도보존계획안이 도출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를 위해 행정 또한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