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쾌적한 주거환경 보장과 균형개발을 위해서는 오랫동안 방치되어 온 황성동 공동묘지(일명 갓뒤묘지)를 없애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1986년 신 주거지역으로 부상하면서 ‘경주의 강남’이라는 불리던 황성동은 현재 9600여세대 3만여명의 시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 최대 인구밀집지역이다. 그러나 뚫리다 중단된 막다른 도로와 아파트 동과 동사이 주차장으로 방치된 도로 예정부지 때문에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황성동 중심지에 있는 공동묘지로 인해 도로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상황이어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현재 1만702㎡에 달하는 황성동 공동묘지에는 무연고 묘가 405기, 유연고묘 241기 등 모두 646기의 분묘가 있으며 이중 시유지 4203㎡에 있는 무·유연고묘만 256기에 달한다. 시민들은 장사 등의 관련 법률에 따라 유연고묘의 경우 연고자 협의로 개장이 어려운 건 알지만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전 행정력을 동원하더라도 당장 해결해야 황성동을 균형 있게 개발할 수 있고 행복권도 보장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는 무연고묘와 달리 유연고묘에 대한 처리에 어려움 때문에 정비계획이 늦어지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그동안 추진 상황을 보면 강 건너 불구경 해온 태도가 역력하다. 경주는 3대 국책사업 추진과 KTX개통 등으로 새로운 변화의 시대에 들어서 지역사회의 분위기에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문화재정비사업으로 황남동과 황오동 일대가 대거 철거됨으로써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만일 황성동 공원묘지를 일찍이 정리했다면, 그리고 좋은 주거환경을 갖췄다면 철거민들이 타 도시로 빠져나가는 것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는 황성동 공원묘지의 해결방안을 민간사업자가 공동주택 등의 개발목적으로 허가를 신청하면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런 생각이라면 앞으로도 세월만 보낼 것은 자명하다. 이 문제는 시가 먼저 의지를 갖고 나서야 한다. 먼저 시유지에 있는 분묘 정리부터 하게 되면 사유지에 있는 분묘 처리문제는 방안이 나올 것이다. 해보지도 않고 민간사업자의 의지에만 의존하는 것은 소극적인 행정이 아닐 수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