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신경주 역사 개통’, ‘경주예술의 전당 개관’ 등 경주시민들의 큰 잔치가 마무리된 지금 경주시는 다시 지역의 대세를 진단하고 신속하게 마무리해야 할 일들이 많은듯 하다. 이제 큰 틀에서 잠시 벗어나 작은 틀로 옮겨 시민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면서 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을 하나씩 풀어나갈 때 시민들의 ‘행복 추구 저울’이 평행을 이룬다는 여론이다. 그 대표적인 사업이 지역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황성동의 도시계획도로의 연결이 최우선으로 꼽히고 있다. 1986년 신주거지역으로 부상하면서 거센 개발의 바람을 타고 ‘경주의 강남’으로 불리던 황성동이 뚫리다 중단된 막다른 도로, 아파트 동과 동사이 주차장으로 방치된 도로 예정 부지 등으로 얽힌 실타래 처럼 복잡한 도로망으로 최근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때문에 수년째 이곳에 살고 있는 ‘빠꼼이’ 주민들도 출퇴근길이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 얽혀버린 복잡한 도로 여건 때문이다. 하지만 황성동의 이같이 어려운 도로사정에 대해서는 기막힌 사연과 시의 안일한 대처가 적절히 버무려져 있다는 비난도 크다. ▶황성동은 어떤 곳 인가=옛 도심 외곽지였던 황성동은 현재 9600여세대, 3만여명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 최대의 인구밀집지역, 최고의 상권으로 부각되면서 대형마트를 비롯한 헬스사우나, 패스트푸드, 의류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앞 다퉈 입점하고 있는 지역의 노른자위다. 하지만 ‘당연히’,‘곧 해결되겠지’ 하면서 이곳에 자리 튼 주민들은 수십년이 지나도록 “해결되겠지” 하던 민원이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불만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시는 현재 황성동 주거밀집지역에 대한 계획도로를 고시하고도 예산부족 및 엉뚱하면서도 심각한 민원에 발목을 잡히면서 딜레마에 빠져있다. 특히 이곳은 도 지정 문화재 31호 간묘를 비롯해 국가 지정문화재 사적 제476호, 황성석실분, 사적 제419호인 용강동 원지 유적이 모여 있어 외지 관광객들이 심심찮게 찾아오지만 도로 정비와 주차장이 마련되지 않아 관광 경주의 명성을 퇴색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개발,무엇이 문제인가=개발의 가장 큰 요소는 도로다. 하지만 이곳은 인구증가에 도로여건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도심안의 공동묘지(일명, 갓뒤묘지)로 인해 도로 개설의 접근이 거의 중단된 상태다. 이곳은 황성동 484번지 외 7필지 1만702㎡부지에 공동묘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무연고 묘가 405기, 유연고묘 241기를 합쳐 총 646기의 분묘가 있는데 시유지인 4203㎡에도 무유연고묘를 합치면 256기의 분묘가 자리하고 있다. 문제는 무연고묘와 달리 유연고묘에 대한 처리에 어려움이 때문에 정비 계획이 늦어지고 있다지만 은밀히 따지면 관계공무원들의 적극성 결여도 한 몫하고 있다. 시 관계 부서에서는 현재 공고를 통해 이장이 가능한 무연고 묘지를 제외하고 유연고 묘지에 대해서는 사유지에 대한 처리에 어려움만 호소하고 수십년째 이장에 대한 진척이 없는 상태다. 이에대해 주민들은 “장사 등의 관련법률에 따라 유연고묘의 경우 연고자 협의가 따라야하는 개장이 어려운건 알지만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전 행정력을 동원하더라도 당장 개선돼야 도로 개설 등 주민들의 행복 추구권을 보장 받을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개발을 위해서는 분묘의 개장이 선행되야 하는데 분묘 개장은 시에서 추진하는 공공목적의 사업일 때 시 관계 부서에서 관장하고 개인의 개발 목적일 경우 사업주체에서 나설수 있다”며 “현재 시에서는 공공사업계획이 없는 상태라 사실상 지켜보고만 있다”고 말했다. ▶시 개발 계획 및 입장=현재 황성동 공동묘지로 인해 계획도로는 계림중학교-간묘(삼보타운 옆길), 삼보타운-럭키아파트, 삼보타운-철길 옆 등 3구간으로 현재 계림중학교-간묘간 도로에 대해서는 1억원으로 일부 보상을 마쳤고 연말 까지 시의회 동의 후 5억을 추가로 배정해 계림중학교에서 철길 방면 1.5km를 정비할 계획이다. 나머지 구간은 공동묘지와 모두 연결되는 구간으로 유연고묘지 개장의 어려움과 사유지에 대한 보상 문제로 다각적으로 연구, 검토하는 중인데 간묘와 석실분은 신속한 주변정비로 관광자원화할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수년전 한 건설업체로부터 공동묘지 부지에 아파트 건립 계획을 추진하면서 공동묘지를 정비할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지만 일부 사유지 매입이 난관에 부딪혔고 시도 무연고 분묘처리에 신중한 입장이어서 정비계획에 차질을 빚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공동묘지 개발을 위해서는 분묘의 개장신고가 선행 돼야 한다”며 “도심공원 등 공공목적을 위해 개발을 하거나 개인이 공동주택 등 개발목적으로 허가신청을 한다면 적극 검토에 나서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