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북면으로 이전 예정인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의 위치 변경을 위해 양남, 감포 주민들의 청원(시내권 이전)에 이어 양북주민들이 시장 면담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위치 재론 불가’(당초 예정지) 입장을 밝혀 한수원 이전 사업에 또 다시 제동이 걸렸다. 지난 17일 권영길 지역구 시의원과 양북 주민대표 6명이 최양식 시장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방폐장 유치를 위해 한수원은 양북으로 이전 하겠다고 법으로 까지 정하고 이제 와서 이전에 대한 재론을 거론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민들의 재론 거부 입장을 전달했다. 최 시장은 이같은 주민들의 주장에 대해 “양북면 주민들의 동의가 없으면 한수원 위치를 다른 곳으로 변경할 수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양북주민들이 협조해주면 경주를 크게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겠다”고 설득했다. 최 시장은 주민대표들에게 양북면에 산업단지, 골프장 유치 등의 지역 개발방안을 제시했으나 주민대표들은 ‘다 필요 없고’ 한수원 본사의 위치 변경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만 굳히는 자리가 됐다. 지역의 고질적인 논란의 대상인 한수원 본사 위치 변경은 2006년 12월, 2009년 8월에 이어 지난달 동 경주지역 중 양북면을 제외한 양남면과 감포읍 주민 대표들이 청원을 하면서 세번째다. 양북면에 한수원 본사가 오면 시내권과 멀고 오히려 울산과 가까워 지역의 경제적 시너지효과가 별로 없다는 이유로 도심권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에서다. 사실상 최 시장도 이에 대해 납득은 하지만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최근 한나라당 지도부 초청 간담회에서도 “한수원 본사 이전 문제는 당초 약속 사항이라 양북 주민들이 자발적인 동의가 없으면 어쩔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양남과 감포 주민대표 9명은 지난달 22일 최 시장에게 ‘한수원 본사 도심권 이전에 동의하며 그에 따른 동경주 발전을 염원하는 청원서’를 제출하고 양북면 장항리로 부지가 결정된 한수원 본사 위치를 도심권으로 바꾸는 대신 양북면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요청했다. 그러나 한수원 이전 예정지역인 양북 주민대표들은 이같은 논의가 재차 재개되면 주민서명운동과 함께 강력한 실력행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해 ‘당초약속’과 ‘시너지 효과’를 두고 한수원 부지 논의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