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주최, 경주고도육성포럼이 주관한 ‘경주고도육성정책 시민 대토론회’가 지난 7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으나 도심권 시민들의 심한 반발로 파행으로 끝나고 말았다. 경주 도심위기대책 범시민연대, 경주 중앙상가협의회 등 20여개 단체 회원들은 이날 “고도보존육성계획을 수립하면서 당사자인 도심 시민들의 의견을 배제한 채 시내전체를 세계문화유산 등재, 새로운 규제 기본계획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경주고도육성포럼’이라는 단체를 내세워 여론을 조작, 시민토론회를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시민 대토론회 자체를 반대했다. 그리고 이러한 중요한 자리에 시장과 국회의원, 시의장이 참석하지 않은 것은 지도자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고도보존 특별법 개정에 따른 지구지정에 앞서 ‘고도보존육성계획’ 수립은 도심을 황폐화시키고 시민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도심권 시민들의 반발이 끊이지 않는 ‘뜨거운 감자’였다. 이날 토론회는 경주고도육성포럼이 창립을 하면서 고도 경주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경주고도육성정책 시민 대토론회’를 개최해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이번에 경주고도육성포럼이 어떤 경위에서였던 토론회를 가지려고 한 것은 의미 있었다고 판단되나 지역 현안에 대한 접근방법이 문제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특히 이러한 민감한 자리에 시장이나 국회의원, 시의장 등 지역을 이끌어가는 지도층의 불참과 예산 지원만 했지 어떠한 책임도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주시의 어정쩡한 태도는 극히 실망스럽다. 지역의 주요현안 일수록 토론을 거쳐 공론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동안 경주사회는 방폐장 유치와 국책사업 등 굵직한 현안을 추진하면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보다는 주최 측의 일방적인 추진과 지역이기주의로 갈등과 불신만 넘쳤다. 그리고 지역 지도층들의 함구에 시민들은 많은 실망을 했다. 이날 토론회는 무산됐지만 앞으로 ‘고도보존육성계획’ 수립을 위해 시의회 내에서도 논의가 있을 전망이며 시민공청회 또한 열릴 것이다. 따라서 경주시는 이번처럼 뒤에서 팔짱을 끼고 있을 것이 아니라 반발하는 시민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잘 살피고 앞으로 진행될 내용이 무엇인지 사실 그대로 밝혀야 한다. 토론을 두려워하는 사회는 오만과 아집, 이기만이 만연해 화합을 가로막고 지역발전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모두가 명심하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