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한전·한수원 통합을 골자로 하는 ‘전력산업구조 정책방향 연구 결과’ 정책토론회는 경주시민들의 반발과 한전노조 측의 대립으로 제대로 진행조차 하지 못하고 끝났다. 경주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김영학 지식경제부 제2차관은 경주시민들의 의견과 한전노조 측의 입장을 충분히 듣고 고려하겠다는 말로 마무리했지만 한전·한수원 통합 논의는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분위기다. 김 차관 “먼 길 온 보람이 있을 것” 김일헌 의장 “시의원직과 목숨 걸겠다” 비대위 “통합하려면 방폐장 가져가라” #서울로, 서울로… 지역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한수원·한전통합반대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회원195명은 9일 오전 7시 서천둔지 주차장에 모여 6대의 버스에 나눠 타고 출발했다. 이중에는 양북면 주민들이 60여명에 달했다. 그리고 경주시의회는 이만우 부의장(시장, 국회의원, 도의원은 국도비관련 간담회에 참석)과 정복희 의원을 제외한 18명(권영길 의원은 서울에서 합류)과 의회 사무국 직원들이 시청에서 버스에 올랐다. 비대위는 토론회장에서 발생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상경하는 회원들 모두 상해보험을 들었다고 전했다. #제한된 입장 이날 상경한 경주시민은 시의원들과 경주시 관계 공무원, 비대위 회원 등 250여명에 달했다. 그리고 토론회장 안팎에는 전국전력노동조합원과 한전 측 관계자 500여명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토론회장 출입 인원은 철저히 제한했다. 경주에 올라간 인원과 전국 전력노조 측에게 각각 200명씩 표찰을 나눠주고 입장하도록 했으며 검색대까지 만들어 입장하는 이들을 검사하면서 혹여 발생할지도 모르는 불의의 사태에 대비했다. 그리고 서초경찰서(서장 하상구) 병력이 aT건물 안팎에 배치되는 등 토론회장은 시작 전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돌았다. 토론회장 입구에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노조원들은 ‘매국적 한전분할, KDI를 해체하라’는 피켓을 들고 대치했으며 비대위 회원들도 ‘한전·한수원 통합불가’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경주시민들의 뜻을 전달했다. #시작은 좋았으나 단상 좌측에는 ‘한전·한수원 통합반대’를 새긴 노랑색 조끼를 입은 경주시민들이, 우측에는 한전 노조 관계자들이 자리를 차지했다. 2시10분경 토론회가 시작되고 김영학 차관과 KDI연구원장의 인사말을 할 때만 하더라고 분위기는 괜찮았다. 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의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전력산업을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이를 위해 용역을 주었으며 그 결과물로 정책토론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 정부의 방침을 결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의회 성명서 발표 이날 시의회의 성명서 발표는 당초 순서에 없었다. 그러나 지난 7일 새로 출범한 제6대 경주시의회 의원들 대부분이 참석했고 경주시 측의 요구에 의해 성명서를 읽는 기회를 잡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