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들어서기로 했던 한수원 본사가 정부의 한전·한수원 통합논의로 경주이전이 불투명해지자 지역사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은 지난 29일 오후3시 경주농어민회관에서 (가칭)한전·한수원통합반대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발대식을 갖고 조직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날 발대식에는 최양식 경주시장 당선자와 최학철, 박병훈 도의원 당선자, 최병준 시의장 등 선거직들과 청년회의소(JC), 청년연합회, 방범연합회 등 단체 대표 200여명이 참석했다. 강태호 비대위 준비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일어나지 않아야 할 일이 일어났다”며 “이제는 경주의 청년들이 스스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최 당선자는 “우리 국민들은 건망증이 심하다. 부안사태 등을 야기 시킨 방폐장 문제를 잊어버리고 있다”며 “두 기관의 통합은 경영문제가 아닌 정치문제라고 본다. 법령이 있는데 이를 뒤집는다면 누가 정부를 믿고 따르겠느냐. 두 기관의 통합은 있을 수 없으며 조직적이고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명분을 내세워 한수원을 한전과 통합시켜 한수원 본사의 경주이전을 백지화 하겠다는 의도에 경주시민들은 더 이상 정부를 믿을 수 없고 분노는 극에 다다르고 있다”고 성토했다. 비대위는 또 “방폐장 부지 선정을 위해 온갖 감언이설로 지원책을 남발하던 유치당시와는 달리 입지가 결정되고 난 이후에는 법에 명시된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은 지지부진하고 안전성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에 경주시민은 분노하고 있다”며 “정부는 특별법에 따른 약속을 반드시 이행해야하며 방폐장 건설 중단 등 이후에 벌어지는 사태는 우리를 기만하고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정부에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대위는 이날 지역청년단체와 여성, 장애인, 농민단체 대표 등 7명을 공동대표로 추대하는 등 한전·한수원 통합저지를 위한 조직구성에 들어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