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전·한수원 통합논의로 지역 지도층과 시민사회단체들의 통합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가칭)한전·한수원 통합반대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조직적인 대응에 나섰다. 정수성 국회의원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두 기관 통합의 부당을 주장했으며 최양식 시장도 “법령이 있는데 이를 뒤집는다면 누가 정부를 믿고 따르겠느냐”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모두 두 기관의 통합 반대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의 이번 두 기관 통합검토는 정부만 믿고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시민들에게는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으며 정부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리는 처사임은 자명하다. 이번 사태로 경주시민들의 대정부 투쟁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경주시민들은 두 기관을 통합해 대해 냉정하게 되짚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전 본사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전남 나주에, 한수원 본사는 세계화를 지향하고 있는 원자력 산업의 성장향배에 가장 골칫거리였던 방폐장을 주민투표로 수용해 관련법에 따라 경주로 이전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주민투표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그 명분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다. 원전과 방폐장이 있는 경주가 한국 전력산업의 메카가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만일 두 기관이 통합된다면 경주에 와야 하는 것도 순리다. 따라서 이제 원칙을 저버린 정부의 처사에 분노하면서 통합반대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인 명분을 인정하면서 통합된 기관을 경주에 올수 있도록 요구하고 투쟁하는 것이 더 옳은 일이다. 원전이 있고 방폐장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경주가 주도권을 쥐고 있다. 경주시민들의 반발로 두 기관의 통합이 백지화 된다면 시간을 허비하고 상처만 남긴 채 끝나지만 통합된 기관을 유치한다면 그 기대효과는 배가 된다면 것을 인식하고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