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한수원 통합 반대 7월부터 본격적인 반발태세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의 통합논의에 대한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양식 경주시장과 제6대 경주시의회가 출범하는 오는 1일부터 본격적인 대응이 예상된다. 특히 정부가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에 실시할 예정인 한전과 한수원 통합을 골자로 하는 ‘대내외 여건변화에 부응한 전력산업구조 정책방향’ 용역연구결과 발표 및 정책토론회를 앞두고 지역시민단체가 중앙부처 및 한수원, 한전 등에 항의방문을 준비하고 있어 반발이 확 산되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두 기관의 통합을 반대 규탄하는 현수막이 지역곳곳에 걸고 시민여론을 규합하고 있어 대규모 반발로 번지고 있다. 최근 국책사업추진협력범시민연합과 경주위기대책시민연대 등 10여개 단체들은 최근 ‘(가칭)한전·한수원 통합에 따른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지역 여론을 모아 시민대표단을 꾸려 관계부처 등을 항의방문하고 탄원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그리고 한수원 본사 인근지역인 3개 읍면(감포·양남·양북) 주민들과 함께 조직적인 반대운동을 확산시켜 나가기로 했다. 조관제 국책사업추진협력범시민연합 상임대표는 “이번 두 기관의 통합논의 문제는 경주의 미래가 걸린 문제다. 주변지역 3개 읍면지역 주민들과 도심권 시민들 모두가 하나가 되어야 해결할 수 있다”며 “대책위가 구성되면 대대적인 통합반대운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두 기관의 통합반대에 이어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하 공단)이 추진했던 방폐물 인수저장시설 임시사용도 제동이 걸렸다. 지 난 9일 경주시로부터 인수저장시설 임시사용 승인을 받았던 공단은 한전과 한수원 통합논의로 지역정치권과 경주시의회,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이 확산되자 방폐물 임시저장을 당분간 연기하기로 했다. 그러나 공단 측의 이 같은 조치는 그리 오래가지 않을 전망이다. 공단 측은 현재 울진원전 등 각 원전의 중저중위 폐기물이 포화상태에 있기 때문에 여론의 추이를 보면서 임시저장을 추진한다는 원칙은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전과 한수원 통합논의의 가닥을 지켜보면서 임시저장을 다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지역시민단체들은 “방폐장 공사의 안전성을 의심받는 상황에서 임시로 방폐물을 장기간 보관하겠다며 인수저장시설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한전과 한수원 통합논의와는 별개다. 시민들의 안전이 걸린 문제를 풀지 않고 방폐물 인수저장시설을 임시 사용하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