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경주 방폐장 환경친화단지 조성공사 입찰을 집행하면서 지역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근본적으로 되지 못해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공단은 측은 지난 5월 말 방폐장 부지 내 250여억원을 들여 경주 방폐장 환경친화단지 조성공사를 하기 위해 입찰공고를 했다. 공사는 자유관람공간인 방문센터, 가로공원, 오행원, 녹차밭 및 망향정 등과 통제관람공간인 전망대, 근무자체육시설, 인조잔디구장 및 그린카펫공원 조성 등이다. 공단 측의 입찰 기준을 보면 토건업과 조경업, 전문소방시설공사업 면허를 동시에 갖출 것과 공사규모(기초금액 258억원)의 5배에 달하는 1291억원의 조경공사 실적을 갖추어야만 참여할 수 있다. 지역 업체들은 이 같은 조건은 국내 굴지의 업체 5곳 정도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물론 지역 업체들이 기술이 부족해 참여할 수 없다면 논할 가치가 없다. 그러나 지역 업체들은 이 공사의 경우 고난이도의 공사가 아닌 일반 조경공사이기 때문에 일반건설업체에서도 참여할 수 있으며 지역 업체도 공동도급으로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공단 측은 준정부기관이기 때문에 조달청 내부기준을 준용하고 있으며 50억원 미만의 경우 광역자치단체 내 업체들의 참여를 권장하나 추정금액이 200억원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입장만 내세우고 있다. 이번 사업 추진을 보면서 공단 측이 방폐장을 급하게 정해야 했던 5년 전과 상이한 태도를 보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방폐장 관련 공사에 50억원 미만 공사가 흔하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공단의 경주 이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공단이 주도하는 사업을 하면서도 지역 업체들과 전혀 무관한 조건으로 진행된다면 누가 공단을 지역과 함께하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것인가. 특히 이번 입찰이 지역 지도층이나 시민들이 모두 지방선거에 관심이 쏠려 있는 시점에 추진한 것도 지역사회의 반발을 최소화 하려는 의도가 아닌지 의문이다. 문제는 공단 측이 아직까지 지역사회와 함께하려는 의지가 없어 보이고 지역 지도층 또한 이 부문에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시민들은 지금도 방폐장 유치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공단은 이러한 시민정서를 간과하지 말고 지역 업체 배려 차원이 아닌 지역 기업으로 당연히 지역사회와 함께 한다는 자세로 관행에 얽매이지 말고 개선 할 것은 과감히 고쳐나가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