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들은 다양한 통로를 통해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 그리고 그들이 내놓은 정책을 알 권리가 있다. 현수막이나 벽보, 공보가 있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매체에는 고도로 이미지 작업한 후보자의 일방적인 주장만 담겨있을 뿐이다. 그것만으론 그들의 주장이 진실인지 알 도리가 없다. 실현 가능한 정책인지 검증할 방법도 없다. 그래서 토론이 필요하다. 특히 후보자들끼리 벌이는 토론은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의원 선거에 출마한 일부 후보자들이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고 꽁무니 빼는 바람에 일부 선거구에서는 토론회가 무산되기도 했다. 한심하다. 토론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다. 토론을 회피하는 후보가 시의원이 되면 어떻게 시정 활동을 하겠다는 것인가. 총칼 들고 할 것인가. 돈 들고 할 것인가. 토론은 시의원 활동의 알파이자 오메가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토론을 외면하는 후보들이 시의원 자격이 있느냐고 분노하는 유권자들과 경쟁 후보의 주장은 대단히 설득력 있게 들린다.
후보들이 유권자들이 보는 앞에서 당당하게 토론하고 경쟁하는 것은 후보의 의무이기도 하다. 시민의 알 권리를 정면으로 무시하는 오만한 자세가 아니라면 그런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입으로는 시민의 심부름꾼이라고 하지만 그들의 안중에 시민들은 없다. 시민을 보고 일하는 자세가 아니다.
조선이 500년 간 이유는 왕 앞이라 할지라도 목숨을 건 치열한 토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테네가 스파르타를 이기고 찬란한 문화를 꽃 피운 이유도 시민들의 활발한 토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독일이 런던을 폭격하고 있을 때에도 런던 국회의사당에서는 활발한 토론이 있었기 때문에 영국은 독일을 이겼다.
토론을 회피한 후보들은 입 모아 묻는 시민들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토론이 그렇게 두려운가. 토론에 못나올 치명적 약점이 있는가.
이제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누가 토론 공포증에 걸려 있는지, 그 공포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명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언젠가 다음 세대들은 물을 것이다. 2010년 선거에서 토론을 회피하는 후보가 시의원에 출마한 적이 있는지, 경주 시민들은 그들을 어떻게 심판했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