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며 부정 하는 것은 올바른 처사가 아니다” 지난 3월 11일 방폐장 현안 사항 해결을 위한 지역공동협의회(이하 협의회)가 배포한 ‘방폐장 부지선정 및 지반조사 적절…시공안정성 확보 가능’이라는 방폐장 안전성 검증조사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에 대해 협의회 일부 의원들이 “협의회 위원들의 사전검토나 합의가 전혀 없이 사업자 측에 의해 일방적, 자의적으로 작성된 것”이라며 사업자 측의 들러리로 전락한 협의회에 분노한다며 탈퇴를 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협의회에 소속된 정덕희 반대위원회 공동대표와 임병식 양북면발전협의회장 등 6명은 지난 23일 기자회견을 열어 “안전성검정단은 부분적인 위험성으로 처분동굴(사일로)의 규모와 형상,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고 중간발표를 한 바 있으며 또한 최종보고서의 본론에서는 20차례 이상 미흡하다는 표현을 써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며 “그러나 안전하다는 보도자료를 낸 것은 명백한 허위보도이며 우리는 협의회 위원이지만 보도자료를 사전에 한 번도 읽어 본 일이 없으며 명백하며 협의회에 정정보도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안전검증단의 위험성 지적 중 이행서를 보면 공사를 진행하면서 설계변경을 해나간다고 되어 있는데 개집을 짓는데도 설계 후 시공을 하는데 시공을 해가면서 설계를 한다는 것은 그 만큼 경주시민의 생명을 경시하는 것”이라고 이의를 제기했다. 이들은 “사업자 측이 주도하고 소수의 위원에 의해 독단적으로 운영되는 협의회는 전체 경주시민의 의사를 대변한다고 볼 수 없으며 정정 보도자료 조차 거부하는 협의회는 더 이상 존속할 필요가 없어 탈퇴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협의회 측은 지난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탈퇴 위원들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협의회는 “보도자료는 지역공동협의회 전체회의에서 위임을 받은 소위원회에서 작성한 것으로 ‘사업자 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작성되었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며 “보도자료의 내용은 일체의 가공없이 검증조사단의 조사결과를 요약·발췌한 것이며 또한 내용상 오류가 있을까 우려되어 검증조사단 교수들의 검토까지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부지선정 및 지반조사 적절……시공안정성 확보 가능’ 내용 중에는 표현의 차이이며 일반적인 공사에서는 설계를 먼저하고 시공하는 것이 맞지만 지하시설은 의외성이 크므로 공사를 진행하면서 얻어지는 자료를 바탕으로 보강설계를 통해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맞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협의회는 “협의회에 사업자가 6명이 참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역공동협의회에서는 검증조사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고자 사업자측을 배제한 순수한 지역위원들만의 협의로 검증조사단을 구성하는 등 최대한 객관적으로 검증조사를 추진했다”며 “이러한 객관적 사실을 간과한 채 동료위원들을 들러리 집단으로 매도함에 분노를 넘어 처연하기까지 하다”고 성토했다. 협의회는 “방폐장 안전성 문제를 전문적으로 검토할 식견이 우리 지역공동협의회 위원들에겐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해당분야 전문가들인 교수진으로 안전성검증조사단을 구성하는데 전체위원들이 동의했다”며 “그런데 마지막과정까지 참여하였다가 이 시점에서 자신들이 마치 최고의 전문가인 양 전문가 조사결과를 뒤집는 비전문가의 주장을 늘어놓으며 자신들의 동의하에 구성한 안전성검증조사결과를 부정하는 것은 자기모순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하여 그동안의 모든 행위를 부정하는 것은 올바른 처사가 아니다”며 “지역공동협의회는 방폐장 현안 해결을 위해 심사숙고하여 중요한 결정을 내렸으나 일부 위원들이 자신의 의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이유로 탈퇴하며 지역공동협의회를 사업자의 들러리로 비하하는 것은 전체위원들에 대한 인격적 살인행위이다. 따라서 전체 협의회 위원들에게 공개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협의회는 동경주 주민대표 9명과 시의원 2명, 방폐장 측 인사 6명 시내권 시민사회단체대표 6명 등 23명으로 구성돼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