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했던 신라천년 문화예술의 전통을 계승하고 역량있는 작가를 발굴하기 위해 신라문학대상운영위원회(위원장 경주시장)가 주관한 제21회 신라문학대상 현상공모에서 시 부문은 ‘만파식적’을 출품한 김인숙씨(여·40·대구)가, 시조부문에는 ‘토함산 가을’을 출품한 곽길선씨(여·51·대구), 소설부문에는 ‘틈’이란 내용을 출품한 권영이씨(여·52·충북), 수필부문에는 ‘감은사 지어 핀 사랑’을 출품한 전이경씨(여·40·영주)가 각각 당선됐다.시 부문 당선작 ‘만파식적’은 소재에 충실하면서도 시적 형상화에 성공한 작품이다. 화자를 일단 피리로 설정하고 그 전설에 따른 ‘소리로서 천하를 다스려야하는’ 나의 내적 정황을 잘 살려냈으며, 그 정황은 ‘나’와 나를 취적(吹笛)하는 ‘당신’이란 타자를 통해 제시되고 있어 그 만큼 극적 효과를 살리고 있으며 고른 수준의 응모작들 전반을 통해 신인 나름의 잘 갖춰진 기본기와 시적 역량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시조부문 당선작 ‘토함산 가을’은 전체적으로 고르고 또 뛰어난 감각과 언어를 다룬 세련미가 다른 작품에 비해 매우 우수해 수상작으로 뽑혔다. 또 소설부문 당선작인 ‘틈’은 아내의 시신을 염습하는 어느 염습사의 고뇌를 그린 수작이다. 사랑하는 아내의 주검을 차마 ‘묶을’ 수 없었다는 대목에서 감동의 울림을 더욱 증폭시켜 줌으로써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수필부문 당선작인 ‘감은사 지어 핀 사랑’은 역사적인 유물, 문화재는 예술성을 넘어 끝없는 깨달음과 영원한 물음의 존재일 것이다. 사랑으로 본 의미 부여가 돋보였고 표현상의 특징으로 상상과 통찰이 설득력을 높였으며 언어구사력과 문장력 등이 매우 뛰어나 좋은 평가를 받았다.이번 시상식에서 시 부문 당선자에게는 600만원, 시조 및 수필부문 당선자에게는 각각 500만원, 소설부문에는 1000만원의 시상금과 상패가 각각 수여됐다.한편 이번 신라문학대상 공모현황을 보면 시 부문에 747편, 시조부문에 238편, 소설부문 83편, 수필부문 202편 등 총 1270편이 공모됐으며 시상식은 지난 달 28일 오후 4시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