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국민보도연맹 경주민간인 희생자 유족회(회장 최해복)는 지난 16일 오후 2시 월성동사무소에서 유족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칭 ‘경주국민보도연맹 경주민간인 희생자 유족회’ 발족식을 가졌다. 이번 발족식은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규명한 군위, 경주, 대구지역 국민보도연맹사건 진실규명에서 경주지역의 민간인 희생자중 신고자 32명이 민간인희생자로 결정되었고 215명의 미신고자가 확인됨에 따라 결정문을 받은 유가족들이 정부의 보상과 위령사업을 추진하기위해 창립됐다. 최해복 회장은 〃노 정권 때 과거사 청산을 위해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만들어지고 경주지역의 민간인 피해자가 밝혀지면서 당시 시대의 혼란을 틈타 정상적인 재판 없이 빨치산으로 몰아 많은 민간인들을 학살됐다. 이러한 피해를 입은 유가족들이 국가에 배상을 요구하고 위령사업을 추진하기위해 모였다〃며 〃억울하게 죽어간 영령들을 위로하고 인권을 유린한 국가는 사과와 보상을 해야 한다. 지금도 밝혀지지 않는 억울한 희생자들을 찾아 그 한을 풀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의 특별법제정으로 미신청 유족들의 추가신청과 유해발굴, 진실화해위원회의 권고사항인 국가의 사과, 평화와 인권 교육, 영령들과 유족들의 명예회복,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에 따르면 국민보도연맹 경북도연맹사건은 각 시군 연맹에 가입되었던 보도연맹원을 포함한 예비검속 대상자들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관할 경찰서(지서) 소속 경찰에 의해 연행되거나 소집통보를 받고 출두했다가 경찰서 유치장, 농업창고, 역전, 극장 등에 구금되어 이전의 활동경력 등에 따라 갑, 을, 병 등으로 분류되어 경찰과 국군이 후퇴하던 1950년 7월 중하순 무렵부터 8월 중순 무렵까지 해당 시 군의 여러 장소에서 집단 사살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희생된 사람들은 보도연맹원과 좌익혐의 등을 이유로 예비 검속된 사람들로 대부분 농사를 짓거나 직장을 다니던 청장년 남성들로 비무장 민간인이었다. 경북도연맹의 희생자는 정확한 자료가 없으나 당시의 남선경제신문과 영남일보 기사에 따르면 3332명이라고 보도되었으나 이 자료는 1949년 12월 5일까지 확인된 규모로 경북지역 대다수의 시군 연맹이 1950년 1-2월경 결성된 점과 경북도내 청도군만의 보도연맹원 규모가 2138명이었다는 것을 감안할 때 3332명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주지역의 희생자도 실제 600여명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어 유족회의 발족을 계기로 역사 속에 묻어두었던 아픔을 어느 정도 치유 될 수 있을지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권민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