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 중인 행정구역통합 문제가 아직 경주사회에서는 남의 이야기처럼 들리는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먼저 지자체의 자율적인 통합을 유도하고 이후에는 여론조사를 통해 과반이상의 찬성이 나오는 도시는 강제통합을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 졌다. 이러한 가운데 전국 48개 지자체가 통합을 신청했고 일부 지자체도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경주는 인근 울산과 포항이 경주와의 통합을 기대하며 활발한 논의가 전개하고 있는 데에 비해 지극히 소극적이다. 행정을 주도하는 시와 민의를 대변하는 시의회가 이 부문에 대해 이상하리만큼 함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지역 시민단체가 인근 울산과 포항과의 통합을 공론화하고 적극적인 여론 수렴이 필요하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행정구역통합은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정부의 주도로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따라서 경주가 이를 무조건 외면만한다면 막상 공론화 분위기가 무르익으면 대처하기가 쉽지 않은 것은 자명하다. 경주는 역사문화관광도시로서의 가치와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경제적인 기반이 약해 산업기반을 갖춘 울산이나 포항과 통합을 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울산과 포항의 경우도 경제적인 기반에 경주의 장점을 더 한다면 시너지효과가 있다는 것은 중론이다. 전문가들은 경주와 울산, 포항은 역사적으로나 태생적으로 한 울타리에 있기 때문에 통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나중에 정부의 주도로 이리저리 끌려 다니기 보다는 이차에 경주사회도 행정구역통합에 대해 진지한 고민이 필요할 때라 사료된다. 그리고 일방적인 결정이 아닌 시민사회의 활발한 토론과 올바른 여론형성을 통해 문화와 산업이 공존하는 도시모델을 만들어 내는데도 관심을 가져야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