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한우의 날` 우수농가 시상
"23만여㎡의 땅에서 옥수수,보리 농사를 직접 지어 사료 부담을 줄였고 소에게 필요한 열량 만큼만 사료를 준 것이 대상을 받은 비결입니다. "
경북 경산에서 소 180여마리를 키우는 서우열 봉이농장 대표(61)는 "소값 변동폭이 큰 만큼 품질만 좋아서는 살아남을 수 없어 사료부문에서 원가절감을 기울인 결과 고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2일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농협 주최로 열린 `제2회 한우의 날(11월1일)` 행사에서 대상(농림수산식품부장관상)을 수상한 봉이농장 등 20개 농장이 `우수경영농가`로 선정돼 상장과 포상금을 받았다.
수상 농가들은 100~400두 규모의 씨암소,고기소를 사육하면서 연간 평균 80두가량을 출하했다. 두당 250만원 이상 순수익을 올려 연 소득이 2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박종규 농협 축산지원부 차장은 "이들 농장은 공통적으로 HACCP(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인증을 받은 친환경농장으로,철저한 방역으로 위생관리를 하고 청보리 등 사료를 자체 생산해 30% 이상 원가를 절감하는 등의 노하우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 들어 한우 수요가 늘면서 소값이 회복된 것도 농가소득 향상에 한몫 했다. 농협 축산물등급판정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한우 암소(600㎏) 산지가격은 두당 558만원으로 1년 전(444만원)보다 25.7%(114만원) 올랐고 추석 대목기간인 9월 평균(540만원)보다도 높다.
원산지 표시제와 생산이력제의 확대 시행으로 한우 신뢰도가 높아진데다 한우 전문식당과 직거래장터의 활성화로 한우 수요가 늘면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우의 날` 행사에는 장태평 농식품부 장관,남호경 한우협회장,남성우 농협 축산경제 대표,이낙연 의원 등이 참석했다. 장 장관은 "세계 속의 한우로 자리잡기 위해선 생산성 향상을 통해 보다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하는 게 중요하다"며 "전국의 11개 한우사업단 중심으로 조직을 재정비해 생산자가 주도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