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약지반으로 완공이 늦어진 방폐장의 안전성 논란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방폐장 공사지연진상조사단은 지난달 3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경주시의회 원전특위 위원들과 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폐장 공사지연조사결과 설명회를 개최했으나 방폐장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기는커녕 반발만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지식경제부에서 대한지질학회에 의뢰해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방폐장 공사지연조사단은 이날 “굴진속도가 4.2m/일로 의욕적인 공사기간을 설정했으며 굴진속도 감소와 추가보강 등은 공사현장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라며 “현재 굴착공사는 부지조사특성을 근거해 설계된 처분시설이 정상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금까지 기존의 처분안전성 평가에 미칠 정도로 새로운 지질특성이 굴착 중에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참석한 대부분의 시의원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조사단의 조사결과는 서류 검토만으로 그친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며 안전성만 강조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김윤근 경주환경운동연합 비상대책위원은 “조성수 국회의원이 최근 밝힌 자료를 보면 암반이 0~25%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와 있는데 그러한 내용은 은폐하고 60~80%라고 발표한 것이 문제였다”며 “방폐장 유치 때 진실을 이야기 했으면 이런 문제는 생기지 않았을 것이며 누가 60~80% 수준이라고 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기 경주경실련 원자력정책연구소장은 “사일로 하나하나에 대한 암반등급과 공기가 있는데 짧은 시간 내에 조사를 했다는 것에 대해 연민이 갈 정도”라며 “조사단의 발표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방폐장 부지를 방문해 실질적인 조사를 하지 않고 기존 4차부지 조사까지의 자료만 분석하고 발표한 내용은 신뢰할 수 없으며 이번 조사는 원천적으로 잘못된 만큼 일단 공사를 중단하고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되는 진상조사단을 다시 구성해 전반적인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방폐물관리공단 관계자는 “조사단 구성은 깊이 연구해 보겠다”며 가부를 밝히지 않았다. 방폐장 공사지연조사단은 시청에서 설명회를 가진 후 오후 5시30분 월성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센터에서 감포·양남·양북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가졌으나 강한 불만만 초래했다. 주민들은 “방폐장 공사가 연약지반으로 30개월이나 지연되는 중요한 문제가 설계 때부터 잘못되었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이를 서둘러 덮으려고만 한다”며 “더 이상 정부를 신뢰할 수 없으며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고 외국인 전문가를 영입해 재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재조사를 거쳐 주민들과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방폐장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설명회 후 경주시의회와 3개읍면,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경주경실련은 이날 설명회 후 성명서를 통해 “이번에 공개된 정부의 진상보고서는 한마디로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으로 동문서답에 초점이 맞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즉 사안의 중대성이 어떻든 간에 이번 국책사업을 허투루 라도 강행하려는 속셈만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경주경실련 관계자는 “5일 오후 긴급임원회의를 갖고 정부가 방폐장 완공을 2년6개월을 연장하면서 보강하면 과학적으로 이상이 없다는 내용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자료를 내부공개하고 의견을 나눴다”며 “먼저 정부관련기관에 공사 중단을 촉구한 뒤 다음 수순으로 공사중지가처분 신청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의회는 지난 3일 경주역 광장에 천막을 설치하고 방폐장 공사 중단을 촉구하는 농성에 들어갔다. 시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방폐장 부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 방폐장 건설공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4일부터 읍면동을 순회하며 방폐장 공사 중단을 촉구하는 대시민 홍보에 들어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