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에서 보류됐던 방폐장특별지원금 사용 안이 다음 달 또 다시 시의회에 상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사)경주지역발전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상징성과 후세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특별지원금은 통상적인 예산이 아니라 천년고도를 지키면서 입은 피해와 빈곤을 벗어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후세의 핵 위험까지 감수하고 받은 지원금"이라며 "이 돈은 일상적인 시 살림살이와 관련한 경상 사업에 사용돼서는 아니 된다. 이 돈은 그 의미을 살리면서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해 경주발전에 장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종자돈으로 사용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또 "경주시는 공청회에서 교통체증 때문에 도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어느 도시든 교통체증은 발생하기 마련이며 경주는 그래도 타 도시에 비해 교통인프라가 좋은 편"이라며 "도로는 경상예산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다. 굳이 화급을 따진다면 도로가 아니라 작금의 세계적 불황속에서 경주시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3000억원을 시의 경상 사업들에 분산시켜 쓰고 나면 마치 문중에 나온 토지보상금을 나눠 써버리고 후손을 위해 뭐 하나도 남기지 못하는 꼴이 될 수도 있다"며 "사용처가 무엇이든 방폐장특별지원금은 한 용처를 선택해 집중적으로 투자하며 용처에 관한 좋은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경주시민을 상대로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나아가 국내․외적으로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것도 병행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협의회는 "공모 그 자체가 시민적 합의에 이르는 첫걸음이며 경주를 세계적으로 홍보하는 지름길"이라며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특별심의위원회를 구성해 공모 안을 평가하여 대안을 도출하고 시민공청회로 홍보한 후 시민 여론조사를 통해 결정한다면 틀림없이 최적의 의사결정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