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가 시민들의 여론수렴과 민원해결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의원사무실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예산낭비는 물론 대의기구로서의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시의회는 2007년 11월 당초 예산결산위원회나 특별위원회의 회의실로 사용하던 소회의실을 8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의원사무실로 꾸몄다. 그리고 지난 연말까지 1명의 사무원을 두고 의원사무실을 운영해왔다. 운영초기만 하더라도 매일 의원 2명씩을 근무조로 편성해 출근하면서 민원이 있는 현장이나 관련기관을 방문하는 등 의욕적인 활동을 했었다. 그 결과 후반기 시의회가 출범하기 전인 2008년 6월말까지 8개월 동안 117건의 민원을 처리하는 성과도 올렸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이후 현재까지 처리된 민원이나 현장을 방문한 예가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는 근무편성표 조차 없어 의원사무실의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사정에는 정당공천제와 국회의원선거 후유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시의회는 정당공천제에 의해 선출된 시의원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국회의원선거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 지난해의 경우 시의원들이 국회의원선거 운동에 매달려 의회 내 갈등이 많았으며, 의정활동도 당연히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경주는 국회의원 재선거를 앞두고 있고, 지방선거도 1년여 밖에 남지 않아 시의원들이 또 국회의원선거운동에 내몰릴 판이다. 의정활동에 충실하기보다 높은 분 눈에 들어 공천을 받는 게 더 확실한 당선을 위한 지름길인 잘못된 정치제도의 산물이다. 최근 의장이 의원사무실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시 근무편성표를 만들어 의원들에게 통보했지만 국회의원 재선거와 개인의 사정을 이유로 협조가 잘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면 의원사무실 무용론에 그치지 않고 시의회 무용론까지 확산될지도 모른다. 4년 임기를 보장받고 시민의 혈세로 월급을 받는 시의원들이 자신의 존재가치와 본분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할 때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