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시민단체들이 가동연한이 2012년까지인 월성 1호기의 압력관 교체를 두고 사용연장 수순을 밟고 있다고 주장 하고 있다. ▶월성 1호기는=67만9000kW의 설비용량을 갖춘 가압중수로형으로 캐나다 AECL이 설계 공급했다. 연료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하고 있으며 1977년 7월 착공해 1983년 4월에 상업운전 시작, 오는 2012년까지 가동된다. ▶압력관 교체=한수원(주)은 월성1호기의 압력관 교체공사를 위해 지난 2006년 5월30일 계약을 체결하고, 2008년 12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압력관 교체 인허가 승인 받았다. 이에 따라 월성원자력은 오는 4월1일부터 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고, 6월28일 압력관 교체작업에 들어가 2010년 2월 압력관 등 교체기기 제거완료, 2010년 7월 압력관 등 신규기기 설치를 완료하고 2010년 12월6일까지 공사를 마쳐 재가동 한다는 계획이다. 교체되는 압력관은 380개로 총 3200억원이 들어간다. ▶논란과 의문=이상기 경주경실련 집행위원장은 월성 1호기의 압력관 교체작업은 월성 1호기를 더 연장해 사용하겠다는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이 집행위원장은 “18개월 동안의 압력관 교체기간 매출과 압력관 교체 비용을 합하면 9680억원이 투자되는 셈인데 압력관을 교체한 후 2012년까지 25개월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9000억원가량의 매출에 비하면 이해할 수 없는 사업”이라며 “압력관은 교체를 하고나면 10년가량을 더 사용할 수 있는데 공론화 없이 월성 1호기를 연장 사용하겠다는 전제가 깔린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집행위원장은 또 “고리원전의 경우 연장 사용이 문제가 되자 주민들의 반발로 협의 후 1000억원의 지원하는 것으로 마무리 됐다”며 “시민사회의 논의나 안전성 확보도 없이 압력관 교체를 통해 월성1호기의 사용을 연장한다면 큰 경주사회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월성원전 측은 “월성 1호기 압력관 교체 후 재가동되는 2010년 12월 6일부터 설계수명 만료일인 2012년 11월 20일까지 가동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