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대상사로 선정된 주간신문선정사협의회가 삭감된 지역신문발전기금과 신문발전기금 예산이 국회를 통과한 것과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를 항의방문하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문화부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와 기금운용계획을 변경하는 방식을 협의해 남아 있는 여유자금으로 사업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간신문선정사협의회는 17일 오후 2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를 항의방문하고 “국회가 올해보다 삭감된 신문관련 예산을 통과시킨 것은 당초 문화부가 삭감된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이 빌미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가 지역신문발전기금과 신문발전기금 예산 전액을 올해 수준으로 증액해 수정처리하기로 한 것을 본회의 의결과정에서 다시 뒤집은 것은 문화부의 이중플레이가 작용된 때문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이들은 또 “문화부가 관련예산의 원상회복을 위한 자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대안을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어떤 경우에도 공익성 구현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소외계층 구독료지원사업과 NIE시범학교구독료지원,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인턴사원 지원예산 등은 삭감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문화부가 주간지역신문을 보는 시각을 바꾸지 않는 한 이 같은 일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주간지역신문 언론인들과 간담회나 토론회 등을 정례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부 미디어 정책과 박중동 사무관은 “국회 상임위 예산심사 소위원회에서 신문발전기금과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올해 수준으로 여야가 합의해 증액하기로 한데 대해 문화부가 수정 증액 안에 적극 동의한 바 있다”며 “전혀 이중플레이를 한 바 없다”고 말했다.
박 사무관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의 경우 여유자금이 남아 있다”며 “기획재정부와 기금운용계획을 변경하는 방식을 협의해 소외계층구독료와 NIE시범학교구독료지원, 인턴사원 지원예산 등의 예산을 지원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약 1시간 동안 문화부를 항의방문 한 후 자진해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