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경주시 자전거 이용활성화 과제?-③경주시 더 늦기 전에 사업시행을■
일부 지자체들 전담부서 만들고 조례 제정해 운영
정부 자전거 활성화 노력 지자체에 인센티브 추진
①경주시의 자전거도로 현주소
②역사문화관광도시엔 자전거전용도로 필수
③경주시 더 늦기 전에 사업시행을
▶정부 추진의지 강력=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 구현이라는 목표로 올해 7월 자전거이용 활성화 추진계획발표에 이어 ‘자전거 이용 활성화 추진기획단’을 구성하는 등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자전거 이용시설 설치 권고사항 신설 등 제도적 장치 마련 추진과 자전거 활성화에 노력하는 자치단체에 인센티브 재원을 확보하는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자전거 전담부서 필요하다=자전거타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미 다른 지자체에서는 전담부서를 만들어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로 자전거과를 개설한 창원시는 건설국 내 자전거정책과를 두고 있고 나주시에는 자전거 도시팀(2002년 10월), 서울시 송파구는 자전거교통문화팀(2003년 2월), 진주시는 자전거도로팀(2004년 1월), 청주시는 자전거시설담당팀(2004년 2월) 등 10여개 자치단체에서 전담부서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또 부천시 등 10여개 자치단체에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만들어 자전거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경주시에는 자전거 관련 업무는 전무하다. 자전거도로관리도 건설과 내 도로계에 직원이 한명이 있을 뿐이다. 93.58km의 자전거도로를 갖고 있는 경주시로서는 의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경주시가 시민들로부터 자전거 이용을 적극장려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 할 행정적인 지원을 위한 전담부서 마련과 조례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경주시 자전거 도로 실태조사를=경주시에는 1994년 북천제방도로에 만든 경주여고~보문단지 입구까지 5.0km를 시작으로 올해 사업한 포석정~삼릉구간 0.2km 등 34개 구간에 93.58km의 자전거도로가 있다. 그러나 기존 자전거도로는 자전거와 인도를 겸용한 도로로서 효용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자전거 이용자들이 꺼리고 있다.
특히 자전거도로를 만든 재료가 투스콘, 인터로킹, 우레탄, 아스콘 등 구간별로 달라 과연 자전거 도로라고 말하기가 어색할 정도다. 또 기존 있는 자전거도로는 차선으로 인해 군데군데 끊어져 있어 자전거 이용자들이 위험을 느끼고 있다.
경주시의 자전거타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기존 경주시 자전거도로에 대한 시설과 이용가능성을 가늠하는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170억 이상들 들여 만든 경주시 자전거도로 이제 활용도는 낮고 보수에만 예산이 들어가는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식’이 되고 있다.
▶자전거타기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유럽은 1970년대 오일쇼크를 계기로 자전거가 생활화 되고 있으며 생활교통수단으로 진화하고 있다. 경주시도 유가 인상으로 한 때 자전거타기 생활화를 위해 홍보를 했으나 현재는 이마저도 하지 않고 있다.
대구 자전거타기연합 김종석 본부장은 자전거타기 생활화를 위해서는 우선 행정에서 앞장서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다른 시민운동과 달리 자전거타기 시민운동은 기반시설과 제도적인 장치마련 등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에 행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본부장은 지자체에서 도시 자전거 도로망 계획 및 자전거 노선 지정,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 표지판 정비, 자전거 주차장 설치, 대중교통과 연계 및 이용 등 자전거 기반시설 확충과 지역 실정에 맞는 조례제정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리고 시민 홍보 및 교육을 위한 시민 홍보와 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자전거 추진위원회 설치와 데이터 조사분석 및 관리를 해야 한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또 시민단체는 자전거 마일리지 운동, 자전거 출퇴근 운동 등 실천운동과 자전거타기 강습, 자전거 대행진 등 각종 자전거 관련 행사를 통한 분위기 조성, 자전거 체험활동 및 자전거 여행문화 개발 등을 전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행정의 적극적인 협조와 시민참여 그리고 행정에서의 홍보와 교육 등이 하나가 될 때 자전거타기 운동은 탄력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