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식물 이용 자연친화적 수질정화
녹조 심한 대릉원 연못 우선 식재
수생식물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하천, 연못의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이 성공적으로 개발돼 경주시는 녹조가 가장 심한 대릉원의 연못에 우선적으로 식재하여 수질을 정화하기로 결정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생식물에 의한 호수, 연못, 하천등에 적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방법이 활발히 연구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에서도 환경보호과 김문호(44. 환경학 석사) 수질관리담당이 지난해 5월경부터 11월까지 천군동의 옛 매립장 인근 연못(3백㎡)에 우리나라 고유 수생식물인 부들, 물옥잠, 마름, 생이가래, 어리연 등 5백분을 25㎡ 수변구역(13㎡)과 부도매트(12㎡) 식재하
여 시험 관찰했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김문호 담당은 "수생식물 식재후 생물학적산소 요구량과 녹조의 주범인 질소와 인이 점차적인 개선됨을 알 수 있었고 수생식물이 식재된 부도주위와 수변 구역에는 수질이 개선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김씨는 "수생식물 뿌리에서 산소 전달을 통해 미생물 분배활동이 일어나 물속에 있는 녹아있는 유기물질과 효소의 녹조현상의 주범인 질소와 인을 제거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북관광개발공사에서도 이번 실험 결과를 토대로 예산 5천만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경주시 환경보호과와 공동으로 참여해 수생식물을 이용 보문호의 수질을 정화하기로 합의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