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2월 29일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가 양북면 장항리로 발표되면서 지역사회는 첨예한 대립으로 민심이 갈라졌다. 정치권은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재논의’를 지난 4·9총선에 이용하면서 지역민심 뿐만 아니라 지도층이 갈라지는 최악의 사태로 이어졌다.
최근 방폐물관리공단 경주 유치확정이후 답보상태에 빠져있던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재논의 문제가 공론화되면서 갈라졌던 지역민심을 치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기에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매입을 결정하는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지난 6일 안건을 상정하지 않은데 이어 오는 20일 열리는 회의에서도 안건상정이 불투명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지역 50여개 시민사회단체들과 경주시의회가 재논의를 위해 연기를 요청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이도 있다. 물론 양북면 주민들 중에는 ‘재논의는 불가하다’는 입장은 여전하다.
어쨌든 그동안 말로만 떠돌던 이전부지 재논의 문제가 본격화 될 전망이어서 서로가 만족할 수 있도록 소통을 통한 거국적인 합의가 요구된다.
우리는 국책사업유치 과정을 거치며 아무리 좋은 선택이라도 서로에게 뼈아픈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목도했다.
돌이켜보면 지난 3년은 우리 사회가 대화와 이해를 통한 화합으로 일을 처리하기 보다는 이익을 위해 이슈를 선점하고 지역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날을 세웠던 시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한번 결정했던 것을 다수의 시민들이 상생을 위해 재논의를 해야 한다는 여론에 힘입어 지역 지도층들이 앞 다투어 해결사로 나서려고 한다. 그러나 이번 이전부지 재논의에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은 ‘일방통행’은 또 다시 심각한 내홍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보다 실천이다. 지역 지도층들이 잇따라 적극적인 태도는 보이고 있지만 정작 가시적인 결과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더 늦기 전에 말이 아닌 실질적인 결과물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리고 재논의 문제를 가장 반대하고 있는 양북면 주민들에게 가슴을 열고 다가가야 한다. 혼란을 더 이상 연장돼서도 안되며 다수를 이용한 여론몰이로 해결하려는 자세는 더욱 안된다. 진실하게 보여줄 것은 다 보여주고 논의를 해야 한다. 어쩌면 지금이 2년 전보다 더 중요한 시점일지도 모른다. 지역 지도층뿐만 아니라 시민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