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논의 시간은 벌었지만 미루다간 또 갈등 우려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이하 중토위)가 지난 6일 열린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매입 안건을 상정하지 않아 재논의를 할 수 있는 시간적은 벌었지만 갈등 해소를 위해 재논의를 거론했던 지역 지도자들의 적극적인 행보가 요구되고 있다.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안건 상정 제외=지난 6일 중토위가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공익사업인정 안건을 상정하지 않음에 따라 재논의를 위한 공론화 기회는 잡았다. 매달 한차례 회의를 열고 있는 중토위는 12월 회의를 이달 20일 다시 열기로 했으나 한수원 본사이전부지 매입과 관련한 안건은 다시 상정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중토위의 이 같은 태도는 최근 경주지역 50여개 시민사회단체(10월 29일)와 경주시의회(3일)가 6일 회의를 앞두고 경주발전과 갈등을 치유할 기회가 될 수 있는 한수원 본사이전부지 재논의를 위해 안건상정을 연기해 줄 것을 요구한 것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수원 본사 이전과 관련한 한 관계자는 “중토위에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한수원 부지문제와 관련해서는 3개월 정도는 연기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동경주 지역분위기는=지난달 대책위 위원들의 만남 후 양남에서는 적극성을 보이는 반면 양북 대책위 관계자들은 재논의 불가 입장은 여전하다. 김승환 의원(감포·양남·양북)은 “그동안 말로만 재논의 공론화가 아니라 이제는 우리가 필요한 것을 정리해 제시할 것”이라며 “눈치만 보고 있다고 내놓지는 않기 때문에 먼저 우리의 안이 되는지 안되는지 협상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양북면 주민대책위 관계자들이 재논의 불가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대표성을 갖고 움직이는 사람이 없다”며 “그러나 이는 주변의 눈치 때문이지 조건에 따라 재논의도 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주민들도 많다”고 덧붙였다. 동경주 한 주민은 “지역 지도층들이 지금까지 말로만 재논의를 공론화 하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내용이 없는 재논의는 의미가 없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현재 3개 읍면에서 재논의 문제가 거론되고 있고 또 공론화를 위해 요구사항을 준비하는 곳도 있다. 현재로선 3개 읍면지역에서 누가 먼저 적극적으로 나서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수용하는 한수원, 경주시, 시의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재논의의 가장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재논의 꺼낸 주도세력 나서라=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재논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11일 방폐물관리공단 주사무소를 경주에 둔다는 정관이 확정되면서부터다. 지난달 14일 정종복 전국회의원이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하려다 양북면 주민들의 반발 속에 약식으로 끝났고, 경주시의회도 지난달 9일과 22일 전체의원간담회를 열어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했다. 여기에 방폐장 주변 3개읍면(감포·양남·양북) 주민들로 구성된 방폐장 유치확정에 따른 지역대책위원회 위원들이 지난달 20일 동경주농협회의실에서 처음으로 재논의 문제를 꺼냄으로써 진척을 보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난 한 달여 동안 한수원 본사이전부지 재논의에 대한 공론화 이야기는 지역사회에 화두가 되었지만 정작 공론화를 위한 장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관계자는 “동경주 지역에서 과거와는 달리 조건부 재논의 분위기가 있을 때 재논의 문제를 거론했던 지역 지도층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자칫 시간만 낭비한다면 시민들은 과거보다 더한 실망을 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계자는 또 “지난 3년간 갈등으로 혼란했던 시기를 이제는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며 “만일 지역 지도층들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이번 문제에 접근한다면 절대로 해결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