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일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양북면 장항리로 결정된 한수원 이전 부지를 매입하는 회의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안건 상정을 연기해 줄 것을 요구해 귀추가 주목된다. 이들이 이렇게 나선 것은 한수원 본사 이전 부지는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결정이 내려지면 재논의가 힘들어진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주중심상가연합회 등 5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 29일 청와대와 지식경제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 한수원 등 각계에 건의문을 보내고 방폐장 유치 이후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결정과정에서 심각한 갈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재논의가 공론화 되고 있기 때문에 30만 경주시민의 화합을 위한 거국적인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매입절차를 3개월 정도 연기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 단체들은 또 경주시와 경주시의회에도 건의문을 보내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결정을 미룰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이들 단체들은 건의문을 통해 “한수원 이전부지가 2006년 12월 26일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로 결정되면서 30만 경주시민들은 최선의 선택이 아닌, 피치 못할 선택을 했다는 사실을 잘 알기에 정부와 한수원에 대해 원망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며 “특히 방폐장 주변지역 주민들과 도심권 주민들이 대립하는 바람에 선량한 한 시민이 유명을 달리하고 시민들이 구속되는 일까지 벌어지는 등 지역민심은 갈라질 대로 갈라져 경주발전을 위해 선택한 방폐장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고 시민들은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들은 또 “현재 한수원 본사이전부지로 결정된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장소가 협소해 세계적인 에너지 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한수원도 그 원대한 꿈을 펼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30만 경주시민들도 경주발전을 도모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이제는 상생을 위해 아픈 상처를 뒤로하고 재논의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에 대해 재논의를 격렬하게 반대했던 방폐장 주변지역 주민 대표 30여명이 10월 20일 경주발전을 위한 거국적인 결정을 위해 마음을 열며 재논의 문제를 공론화 하고 있어 갈라진 민심이 화합의 무드로 무르익고 있다”고 연기 당위성을 주장했다. 이들 단체들은 “경주지역 지도자들과 시민사회단체에서 재논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만일 양북면 장항리에 대해 토지수용이 승인된다면 시민들의 갈등은 영원히 치유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상처만 깊어 질 것”이라며 “양북면 장항리는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로 명기되어 있기 때문에 선 매입 후 협상을 통해 원자력산업부지(공단, 학교, 병원 등)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심사숙고해 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양북면 주민들은 최근 관계부처에 한수원 본사이전부지 매입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오는 6일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회의 여부가 지역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한수원 본사 이전부지 재논의를 위한 협상 카드를 준비하고 있는 경주시의회 이진구 의장은 “3일쯤에 한수원 사장 등 관계자들을 만나 경주에 가져올 수 있는 사업이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확답 받을 수 있을 것인지 살펴보겠다”며 “재논의 여론이 나오고 있는 만큼 30만 경주시민을 위해 이번만은 확실한 매듭을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