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 경주시의회 간담회에서 한수원 본사 이전 부지를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다수의 시의원들은 동 경주지역 3개 읍면 주민들의 동의와 상당한 인센티브의 제공을 전제조건으로 한수원 본사 부지를 시내권으로 옮기는 문제를 추진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한수원 본사 이전 예정지인 양북면 장항리가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는 지적과 우려가 높았던 게 사실이다. 특히 장항리 일대의 부지가 협소하여 한수원 본사는 물론 협력업체들의 동반 이전을 유도하기에 무리가 있어 시너지 효과가 반감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었다.
물론 이러한 여론의 바탕에는 경주가 천년고도 역사도시라는 이미지에 먹칠을 감수하면서까지 오직 침체의 늪에 빠진 지역경제를 되살리고자 방폐장을 유치했던 위대한 경주시민들의 마음이 헛되지 않도록 방폐장 유치효과를 가장 극대화해야한다는 충정과 경주발전이라는 대명제가 깔려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미 한수원 본사 이전 부지가 장항으로 결정되었고 이에 따라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 이 문제를 재론하기는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고, 동 경주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감안할 때 누구도 함부로 이 문제를 들고 나오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에 시민의 대의기구인 경주시의회가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장항리 현 예정지에 재확정하든 다른 부지를 물색하여 다시 옮기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장기적인 경주발전을 위해 과연 어떤 부지가 가장 적합한 지 객관적인 지료를 근거로 합리적인 검토를 통해 투명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 전에 동 경주지역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방폐물관리공단 등 합당한 인센티브를 제시해야한다. 그래야 모든 시민들이 수긍하고 마음을 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경주시의회의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