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5년 경주시·군 통합으로 불거졌던 시 청사 이전 문제가 노동청사 주변 상인들의 반대에 부닥쳐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가 최근 경주시가 올해 안에 동천청사로 통합하겠다는 입장을 보이자 또다시 상인들이 반발하고 있어 세간의 화제가 되고 있다. 시 청사 이전문제는 상권의 이전을 의미하므로 지역적으로 인근주민들의 이해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시 청사 이전문제는 대단히 어렵고 미묘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지난 96년 황성공원 옆으로 시 청사를 옮기려다 시민단체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지난해 임시로 동천청사로의 통합이전 또한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은 기본과 원칙에 의한 시민합의를 끌어내지 못한 결과로 보아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98년부터 동천청사로 통합 이전하겠다는 입장을 정리하고도 상인들의 반발에 묶여 늦춰 온데는 그 만큼 속앓이를 짐작케 한다. 그러므로 시 청사 이전문제는 어떠한 압력이나 집단이기를 배제하고 기본과 원칙에 의한 장기적인 안목으로 경주발전과 시민편의에 가장 적합한 방향으로 그 가닥을 잡아야한다. 행정력 낭비, 시민들의 불편 해소, 노동청사가 낡아 구조안전진단에서 D급 판정을 받은 점, 고속철도 경주역사 건립시기의 불투명 등으로 시 청사이전에 대한 시민들의 여론은 절대적이다. 그러나 동천청사로의 임시이전에는 선결해야할 문제가 있다. 영구부지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고, 따라서 임시이전으로 인한 비용과 외곽지 이전이나, 역사부지로의 이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이전의 필요성이 제기될 때는 현 노동청사의 활용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경주시는 동천청사로의 통합에 대한 당위성만 강조할게 아니라 여론조사와 공청회 등을 통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가지고 시민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일수록 그 해법은 단순한 공식에서, 기본법칙에서 찾아야한다는 것이 곧 동서고금의 진리이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