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없어 매입도 늦고 정비도 늦고 신라문화권유적정비사업으로 추진 중인 부지 매입이 예산이 부족해 계획보다 늦어지는가 하면, 상업지구를 문화재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며 도심 주민들이 경주시의회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신라문화권유적정비사업 부지매입 돈 없어 지연 또 지연=이 사업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노동·노서리 고분군, 황남리 고분군, 황오리 고분군, 경주 읍성 등 모두 11개 지구별로 사유지를 매입하는 것으로 총 61만5천962㎡에 주택 1천666호, 사업비가 5천800억원(부지매입, 정비, 발굴비 등)이 잡혀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부지매입으로 1천416억원 가량이 투입됐다. 특히 매년 200억 가량이 투입되는 상황에서 앞으로 남은 3년 안에 부지매입을 모두 마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부지매입이 늦어짐에 따라 정비사업도 그만큼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학철 의원은 11일 의원간담회에서 “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이 30년 계획으로 화려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돈이 내려오는 것을 보면 (방폐장 등)국책사업이 결정된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든다”며 “MB정부가 예산 10% 감축이라는 정책을 하는데 경주시는 2009년도 국비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외진 기획문화국장은 “부지매입과 정비가 같이 계획되어 있으며 현재는 매입부지 예산 밖에 없다. 모두 매입하는데 1천5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되며 모든 사업을 마치려면 3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지구 추가지정에 반대 목소리=노동·노서 고분군 일대 상가지구에 대한 매입이 진행되자 도심 주민들이 경주시의회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문화재보호구역을 추가로 지정해서는 안된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진정서를 통해 “일부에서 보상을 요구한다고 이를 매입하고 그 지역을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려는 것은 도심을 죽이는 일”이라며 “이미 지정된 노동, 노서 고분군의 문화재보호구역으로도 충분한 만큼 더 이상 늘여서는 안된다”고 요구했다. 11일 의원 간담회에서 김성수 위원장은 “경주시가 매입한 곳은 문화재보호구역이 아니며 시내 상가를 매입하고 있는 것”이라며 “일부 상업지구도 (문화재보호구역)지정을 조건으로 부지를 매입하는 것이 문제다. 시가 행정사무감사에서 절대로 하지 않겠다고 해 놓고 개인적으로 야금야금 추진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최학철 의원은 “경주특별법이 무산됐는데 경주시가 허송세월만 보내고 있다”며 “관련 국회의원들을 만나서 일을 하고 있는지 경주시의 의지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